선수1 선수1 기본형 귀를 이대로 방치해 두었다가는 백A나 B의 노림수가 있어서 곤란하다. 그래서 흑1로 젖혀 선수를 취하는 동시에 고약한 뒷맛을 없애려 하는데..... 1도(고약함) 백1로 되모는 맥은 끝내기로도 크지만 흑의 안형을 빼앗고 있다. 이런 백1, 3이 싫어서..... 2도(후수) 흑1로 따내면 .. 맥(手筋)공부/맥ABC 2018.05.29
연락3 연락3 기본형 흑1로 비껴두는 것(날일자)이 연락을 위한 유일한 맥점. 위태로워 보이지만 이것이 완벽한 건넘이다. 다른 수는 잘 안된다. 이어서..... 1도(연락) 백1로 부딪려 오면 흑2로 끌어 그만. 무심코 흑2로 흑A에 막다가는 큰코 다친다. 2도(실패) 백1로 젖힐 때 주의할 필요가 있는데, .. 맥(手筋)공부/맥ABC 2018.05.16
연락2 연락2 기본형 백1로 젖힌 장면. 기본적인 맥점인 흑2의 모붙임으로 무사히 연락할 수 있다. 1도 흑▲의 존재를 무시하고 흑1에서 6까지 삶에만 급급하는 것이 초급자들의 공통점이다. 흑1, 3, 5로 기면 살기는 하지만 흑▲은 무용지물이 된다. 2도(지리멸렬) 흑1로 뛰어 건너가려는 것도 마찬.. 맥(手筋)공부/맥ABC 2018.05.02
연락1 연락1 기본형 백1로 붙여 좌우의 흑을 갈라 놓으려는 순간이다. 흑은 2의 모붙임으로 연락을 취한다. 1도(근 손해) 흑1로 기세좋게 젖히거나 하면 백2로 끊겨 실패한다. 흑3, 5로 한점을 빵때림하는 것은 기분은 좋지만 백6으로 귀의 석점을 빼앗겨서 큰 손해. 그렇다고 흑3으로..... 2도(실패) .. 맥(手筋)공부/맥ABC 2018.04.17
형태를 무너뜨리다3 형태를 무너뜨리다3 기본형 이 모양은 흑A로 잇는 것이 정수이며 1은 양호구이음(속칭 나팔이음)이라 해서 속수의 표본격이다. 왜 그럴까? 1도(무거운 형태) 백1의 들여다 보기부터 끊어지면서 단수이므로 흑2는 절대. 또 백3으로 들여다 보면 흑4 역시 절대. 양쪽에서 들여다 본 결과의 흑 .. 맥(手筋)공부/맥ABC 2018.03.28
형태를 무너뜨리다2 기본형 접바둑에서 잘 나타나는 화점에 양걸침하고 3.三에 들어가 만들어진 형태. 백1이 놓쳐서는 안될 급소로서 흑의 형태를 무너뜨리는 맥점이다. 1도(건너감) 백1로 찝을 때 흑2를 활용한 다음 흑4로 호구치더라도 백은 5로 건너가 큰 이득을 본다. 2도(협상은 되었지만) 그렇다면 흑1로 .. 맥(手筋)공부/맥ABC 2018.03.22
형태를 무너뜨리다1 형태를 무너뜨리다1 기본형 상대방이 돌을 우형으로 만드는데는 벌려서 죄는(장문) 수단이 많이 쓰이고 있다. <축>이 안된다면 백1의 장문이 절대적인 수이다. 1도(죄는 맥) 흑1로 나오면 백2로 단수. 흑3으로 따내면 백4로 단수한다. 2도(大우형) 흑5로 이은 형태는 돌이 똘똘 뭉쳐 큰 포.. 맥(手筋)공부/맥ABC 2018.03.13
형태 정비4 형태 정비4 기본형 백1의 단수에 흑2로 모는 것이 형태를 정비하는 맥점이다. 잇는 것은 왜 좋지 않은지 생각해 보자. 1도(후수) 흑1로 이으면 틈을 주지 않고 백2, 4로 내려서므로 흑은 5의 후수로 한점을 품지 않으면 안된다. 2도(선수) 흑2로 되몬다면 백3로 따냈을 때 손을 빼도 된다. 선수.. 맥(手筋)공부/맥ABC 2018.03.08
형태 정비3 형태 정비3 기본형 정석은 모두 맥점의 연속이다. 예를 들면 흑1의 호구이음은 이 한수로 형태가 정비되어 백으로서는 더 이상 손을 쓸 수가 없다. 1도(뒷문) 호구이음 이외는 모두 실패. 흑1로 내려서는 것은 백2로 뒷문에 쳐들어와 싫으며..... 2도(엉거주춤) 흑1로 변쪽으로 벌리는 것은 백.. 맥(手筋)공부/맥ABC 2018.02.26
형태 정비2 형태 정비2 기본형 초급 때는 흑1로 비껴 두는 점이 잘 보이지 않는다. 상대에게 기세를 주지 않고 형태를 정비하는 좋은 맥이이니 기억해 두자. 1도(최악) 대부분 흑1로 젖히는데 이것은 백2로 기세를 주는 도움 수. 다시 흑3으로 뻗는 것은 최악수로서 백4의 활용을 허용한다. 백6까지 두터.. 맥(手筋)공부/맥ABC 2018.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