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사활공부/사활의 묘수 8

문8

문제도(흑선) 백의 모양이 탄력적으로 보여 조금이라도 소홀히하면 실패할 것이다. 정해도(흑선백사) 흑1의 절단이 묘수. 백2 때 흑3으로 밀고 들어가는 것이 좋은 수순이다. 이하 흑5까지 백 두점을 잡으면 흑A가 자충이 되어 백이 잡힌다. 백2로 3은 흑2로 백이 역시 안된다. 변화도 흑1 때 백2로 단수하면 흑3, 5 다음 자충이 되어 백A에 둘 수가 없다. 실패도 단순하게 흑1로 백 두점을 잡는 것은 하수의 제1감이다. 백2, 4로 간단히 산다.

문6

문제도(흑선) 위의 백 3점의 바깥 공배가 2곳이 비어있어 마치 살아있는 것 처럼 느껴진다. 사실은 그렇지 않다. 왼쪽 흑의 모양이 상당히 견고해서 묘수를 발견하여 백을 잡을 수 있다. 정해도 흑1의 치중은 누구나 생각하는 수. 백2, 4 때 흑5가 절묘한 수. 이 한 수로 백은 어쩔 도리가 없다. 이하 흑9까지 진행, 쌍방 최선이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백1부터 흑4의 되따냄까지 의 모양으로 백이 잡힌다. 실패도 백4 때 흑5로 막는 것은 평범하다. 백6, 흑7로 가 된다. 흑5로 7에 먼저 끊어도 결과는 가 된다.

문5

문제도(흑선) 됫박형 일보 전 모양이다. 이 때 흑은 백을 먹어치울 수단이 있다.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어떻게 하면 백에 바짝 붙을 수 있는가이다. 정해도 흑1의 치중, 백2로 막으면 흑3의 뜀이 절호의 묘수. 백은 반드시 흑A로 넘는 것을 막아야 한다. 정해도 계속 백2로 찌르면 흑3에 잇고 백4로 을 만들려고 할 때, 흑5에 막으면 흑7까지 백은 집을 만들지 못한다. 실패도 흑1로 내려서는 것은 공부가 부족한 것이다. 백2로 막아 이 되었다. 흑3 치중엔 백4가 좋으며 이하 백10까지 가 된다. 당연히 흑의 실패다.

문4

문제도(흑선) 왼쪽에 흠이 있어 백 모양이 나쁘다. 흑이 어떻게 공략할 것인가?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가운데 백 석점의 공배가 채워져 있다는 사실이다. 정해도(흑선백사) 흑1의 치중이 백을 잡는 급소다. 백2로 이으면 흑3으로 기는 수가 묘수. 백4로 막을 수밖에 없을 때 5로 절단하면 백은 살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흑1, 3, 5의 콤비가 좋다. 변화도 흑1 때 백2로 호구쳐도 3으로 끊으면 백이 살 길이 없다. 만일 백의 공배가 하나라도 비었다면 흑1의 치중은 성립하지 않는다. 실패도 흑1의 일선 단수가 좋은 수이기는 하지만, 이때는 성립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백2로 한칸 뛰는 수가 절호의 묘수여서 흑은 백을 잡을 수 없다. 흑1로 A에 끊어 잡는 것은 속수. 백B로 단수하고 2로 내려서서 산다.

문3

삼선에 나란히 있는 백 다섯 점, 쉽게 근거를 마련할 것 같다. 그러나 흑▲이 빠져있어 결과는 백이 잡힌다. 다만 흑이 공격할 때 고도의 기교가 필요하다. 흑1의 날일자, 행마가 견실하고 교묘하다. 백은 부득이 2로 막아 궁도를 확대한다. 흑3으로 끌고 백4 때 흑5가 백의 안형을 빼앗는 급소다. A의 끊김을 방지한 6의 꼬부림은 불가피하다. 계속해서..... 이하 흑9의 젖힘까지 백이 잡힌다. 백△(전도 백6)으로 9에 뛰어도 같다. 백8 치중에 백은 살지 못한다. 백4 때 흑5에 먼저 젖히는 수는 착오다. 백6으로 막고 흑7에 치중할 때 백8이 좋다. 흑은 백을 잡을 방법이 없다. 그리고 수순 중 흑5로 8에 치중하는 것도 잘못인데, 백7로 두어 가 되기 때문이다. 흑1의 비마는 일반적으로 제일감으로..

문2

실전에서 가금 나타나는 유형으로 백의 모양이 굉장히 탄력적이다. 보통의 착수로는 가 되지만, 첫 수사 관건이다. 흑1의 일선 한칸 뜀이 경묘한 묘수. 실용성이 뛰어난 수이며, 이 수를 모르고는 백을 무턱대고 잡을 수 없다. 백2로 한을 만들면 흑3으로 뛰고 백4, 흑5로 백은 를 쓸 기회조차 없다. 흑1 때 백2로 내려서면 흑3의 치중이 급소. 백4면 흑5의 내려섬이 냉정하다. 백은 살 수 없다. 백4로 5에 젖히는 수가 고심의 한 수지만 흑4의 치중이 강수여서 역시 백은 살지 못한다. 흑1로 내려서는 것이 보통의 착수. 백2가 최선의 응수이며 흑3의 날일자에는 백4로 강경하게 저항한다. 흑5 이하 8까지 가 된다.

문1

백의 영역이 넓어 보여 충분히 살 공간이다. 하지만 흑 차례라면 문제가 다르다. 흑은 급소를 찾아야 성공에 이를 것이다. 흑1의 치중이 묘수. 백2로 궁도를 넓혀 보지만 흑3 이하 흑7까지 비집고 들어가면 결국 백8, 흑9로 끊어 백은 양자충에 걸려 꼼짝 못한다. 흑1 치중 때 백이 2, 4 방면으로 궁도를 넓히면 흑5의 마늘모가 요긴한 수. 백6 때 흑7로 찝는 수가 관건이며, 흑9 다음 백은 속수무책이다. 백6으로 7에 먼저 두면 흑6으로 젖혀 백은 에 걸린다. 흑1로 막는 것은 너무 평범하다. 백2에 내려서면 이제는 A에 치중을 당해도 백은 간단히 산다. 흑1로 2에 젖혀도 좋지 않은데, 백이 A로 호구쳐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