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맥(手筋)공부/맥ABC 80

비약(飛躍)

기본형(흑선) 백1로 붙여 상하의 절단을 맞보고 있다. 이 난관을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착상을 비약시켜 보자. 1도(끊김) 평범한 수로는 안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2도(역시 끊김) 흑1로 이어도 백2로 끊긴다. 3도(중앙에 수 있다) 잘 보면 흑▲ 석점과 백△ 한 점이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는 바둑 격언을 알고 있다면 흑1이라는 다소 비약적인 수단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4도(연결) 백2로 몰면 흑3에 이어서 그만. 백A로 이 쪽에서 몰면 흑B에 잇는다. 자충수로 인해 백은 단점을 끊을 수 없다. 5도(역시 연결) 백2로 나가 끊더라도 흑3으로 잡아버리면 그만. 백A는 흑B로 마찬가지. 흑1의 끼움이 멋진 맥점으로 이런 수를 실전에서 둘 수 있다면.....

난해한 문제

기본형(흑선) 초급자에게는 난이도가 높은 수준의 문제. 백의 형태가 불비한 것을 찔러 어느 정도까지 압박할 수 있을까? 1도(무책) 끊기는 것이 두려워 흑1로 호구. 솔직한 태도지만 이것은 맥과는 거리가 먼 수. 백2로 뛰고 보면 흑은 둔 것이 하나도 없다. 2도 단점을 잇기 전에 지나는 길에 흑1을 활용할 셈이었는데 백2의 젖힘을 당하고 보니 욓려 난처하다. 흑A로 막자니 백B로 끊겨 나쁘다. 흑1, 백2를 교환하고 단점을 잇는 것은 활용한 것이 아니다. 3도(후속수단이 없음) 흑1의 모행마를 활용하는 것은 앞 그림보다는 다소 낫다. 그러나 백2로 받으면 후속수가 없다. , 에서 봤듯이 2의 자리가 급소라는 생각이 들었다면..... 4도(급소) 흑1의 급소. 좀처럼 눈에 잘 뛰지 않는 곳이지만 그야말로..

활용

기본형(흑선) 쉬운 맥 문제이지만 무신경하게 결정지우는 것은 삼가야 한다. 어떤 활용점이 있는가, 그 활용점을 살려 어느 만큼의 이득을 취할 수 있을까? 1도(무신경) 흑1로 막아버리는 것은 맥과는 아무 연관이 없는 수. 백2로 품어버리면 그것으로 그만. A의 절단 또는 전체적인 공격을 면치 못한다. 2도(60점?) 흑1로 호구치는 것은 보단 낫지만 100점 만점에 60점 정도? 역시 백2로 품어버리면 영향력이 미약하다. 좀 더 백의 날일자 굳힘에 영향을 미치는 수는 없을까? 3도(맥점 흑1) 흑으로서는 A에 막아 백 두 점을 잡는 수를 노리고 싶다. 그러나 지금 당장 흑A로 두어 봤자 백B로 기어 나오면 더 이상 손을 쓸 수가 없다. 여기서도 뭔가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그래서 흑1로 붙인 것이다. 이..

단수 모는 방향

기본형(흑선) 따로 떨어져 있는 흑 석점을 어떤 방법으로 정비해야 할 것인가. 이런 형태를 보는 순간, 머리에 퍼뜩 떠올라야 한다. 1도(불충분한 처리) 흑1로 모는 것은 속수의 전형. 백2는 당연하며 이렇게 되면 흑은 풀어나갈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다. 흑3으로 미는 수밖에 없을 것 같고 그렇게 두면 백4의 활용부터 6까지 백은 아주 편해졌다. 백6으로 A로 잡아도 충분. 2도(정해) 흑1에서 모는 것이 맥점이다. 이어서 A로 빵때림 할 수 있다면 대만족. 3도(뚫고 나가다) 따라서 백2로 뻗는 오직 한 수. 여기에서 흑3으로 뚫고 나가면 되는 것이다. 이어서..... 4도(두 점을 제압) 백1로 나오면 흑2로 결정지은 다음 4로 꼬부린다. 위쪽에서 손해를 보았지만 백 두 점을 제압하여 흑은 불만이 없다..

탈출

기본형(흑선) 두 이 없는 흑 대마를 중앙으로 탈출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수단을 써야 할까? 1도(속수) 그리 어려운 문제는 아니지만 실전에 임하면 막바로 해결하는 사람은 별로 많지 않다. 흑1로 밀고 나가려는 것은 맥이 아니다. 백2로 젖혀버리면 흑3, 5의 단수. 이어서..... 2도(탈출 불능) 흑7의 이음에 백8의 날일자로 장문을 씌우면 탈출은 거의 불가능하다. 3도(멋지게 탈출) 흑1로 뛰는 수. 이것으로 멋지게 탈출 성공. 백으로서는 2로 발맞추는 정도. 이때 흑3으로 쌍립하여 유유히 난관을 벗어난다. 백2로 A에 나가 끊으려는 것은 흑B, 백3, 흑2로 양단수가 되어 실패. 4도(방향 착오) 흑1은 뛰는 방향이 틀렸다. 백2, 4로 나와 끊겨 앗차! 해도 늦었다. 항상 두수나 세수쯤은 수읽기를..

참을성

흑1, 3은 보기가 흉한 꼴이지만, 이것도 정석의 일종. 백4로 막힌 다음 흑은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까? 단수, 단수로 몰아가는 것은 초급자의 공통된 나쁜 버릇이다. 흑1, 3의 단수가 대표적이다. 이다음 흑5, 7로 길 수밖에 없는데 백은 한수 한수 늘 때마다 두터움을 더해 싸우지도 않고 이기게 될 것이다. 단수로 몰지 말고 꾹 참고 가만히 흑1로 젖히는 것이 맥이다. 백2, 4, 6으로 늘더라도 흑A, 백B, 흑C로 싸울 수 있다. 이것을 에서는 흑B로 엉뚱한 곳을 단수로 몰아 노림수가 될 A를 백으로 하여금 미리 잇게 해 준 것은 스스로 권리를 포시한 셈이나 마찬가지다. 흑1에는 백2로 잇는 정도며 흑3으로 느는 것이 정석이다. 참고 삼아 디음 진행 요령은, 백1로 붙이고 3으로 들여다보는 것이 맥..

3점으로 키워 버린다

흑1에는 당연히 백2로 끊을 것이다. 이다음 흑은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을까? 흑1로 몰고 정정당당히 살아나가는 것은 조금 무리. 중앙 흑 석점이 엷어진다. 흑은 두 점을 버리는 것이 현명한 처사다. 문제는 그 버리는 방법이다. 흑1의 단수까지는 좋다. 그러나 흑3으로 끝까지 단수하는 것은 너무나 無策. 백4로 따내버리면 아우런 뒷맛이 없기 때문이다. 제3선의 돌은 두점으로 키워서 버린다고 배웠다. 마찬가지로 제4선의 돌은 석점으로 키워 버리는 것이다. 버리더라도 흑1로 늘어둔다. 백2로 막으면 흑3으로 붙여 빈틈없이 막는다. 흑1에 백2의 모행마가 있다. 이것도 맥점의 하나이지만 흑은 평범하게 3으로 몰고 5로 막은 다음 7로 호구 쳐서 불만이 없다. 흑1에 백2로 꼬부리는 수가 좀 맹랑하지만, 흑3..

함정파괴수

흑1의 붙임에 백2, 4로 나와 끊은 것은 일종의 함정수다. 흑5, 백6까지 된 다음 백의 의도를 쳐부수는 흑의 다음 한수는? 흑1로 단수하고 가만히 3으로 나가면 된다. 흑1로 A에 잇거나 2에서 단수하면 안된다. 이어서, 아무리 생각해봐도 백의 입장에서는 4에서 6으로 잡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흑7로 끊은 이 결과는 이의없이 흑의 우세다. 서로 두점을 끊어 잡은 것까지는 호각이라 하더라도 백△이 아무 소용없이 되고보니 백은 완전히 한 수 손해보고 있다. http://blog.daum.net/airattack/3105?category=1972410 참고

황새집

난해한 큰눈사태형 정석의 한 장면이다. 흑1의 단수에 백은 A로 쌍립하는 것이 절대적이다. 만약 백이 A로 쌍립하지 않고 손을 뺀다면 어떻게 될까? 흑1의 끼움이 맥점. 백2에는 3으로 끊고..... 백4로 따낼 때 흑5로 단수하면 , 이른바 이 된다. 의 백2로 A쪽으로 전환해도 흑B의 절단이 유효해 같은 결과가 된다는 것을 확인해 보자. 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의 흑1의 단수에는 백A가 절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