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13 문제도(흑선) 흑A, 백B 다음에 흑C는 백D로 산다. 를 만들어야 한다. 정해도 흑1의 사석이 수순이다. 흑3이 1의 사석과 연관된 맥으로, 백4, 흑5가 되어 가 된다. 정해 진행도 橋本宇太郞/中仙道 2024.01.30
문제14 문제도(백선) 왼쪽 백 6점이 살기 힘들 것 같지만, 사석의 묘착을 이용하여 삶을 도모한다. 후절수가 힌트. 정해도(백선활) 백1로 2점을 사석으로 이용하여 백7까지 후절수(백1의 곳)를 노리는 것과 A가 맞보기가 된다. 정해도 진행 橋本宇太郞/五十三次 2024.01.26
문제13 문제도(흑선) 돌을 버리고 활용하는 것은 상용의 수법이다. 정해도(흑선활) 흑1로 내려서서 수수를 늘리는 것이 묘수, 그 사석을 이용하여 삶을 도모하는 것이 실전의 맥이다. 橋本宇太郞/五十三次 2024.01.06
문제12 문제도(흑선) 흑▲이 그냥 멋으로 있는게 아니다. 정해도(흑선활) 흑 한점을 사석으로 만들어 수수를 늘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정해 진행도(백선활) 橋本宇太郞/五十三次 2023.12.29
문제12 문제도(흑선) 흑A의 모붙임은 백B로 젖힘을 당해 꽃도 열매도 없다. 흑이 살아나고 백이 잡히는 결과가 되어야 한다. 정해도 흑1이 맥이다. 흑5까지 간단히 백이 잡힌다. 백2로 5는 흑4로 끊어 백을 잡는다. 橋本宇太郞/中仙道 2023.12.27
문제11 문제도(흑선) 흑A의 단수로 백B에 두게 해서는 안된다. 를 만들자. 정해도 흑1이 묘수. 흑5까지 가 된다. 백4를 5에 잇는 수는 흑4로 이 되어 백이 잡힌다. 변화도 의 백4로 그림처럼 이었을 경우 흑5까지 백이 이 되어 망한 그림이다. 橋本宇太郞/中仙道 2023.11.27
문제11 문제도(흑선) 정해도(흑선백사) 흑1, 3이 좋은 수. 흑3 다음 백4로 A에 둘 수 없는 점이 슬프다. 다른 수단으로도 안된다. 변화도 백2로 응수해도 흑3, 5에 의해 A의 자충이 성립되어 백이 안된다. 橋本宇太郞/奧の細道 2022.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