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맥(手筋)공부/사활고급맥 21

문제21

문제도(흑선) 이 그림을 보면 백이 상당히 위험하다. 그러나 흑이 백을 잡으려면 모든 단계를 경솔히 해서는 안된다. A, B, C 세 곳의 단점이 생겼는데, 어디부터 시작해야할까? 1도 먼저, A에 끊는 흑1을 선택. 흑3으로 단수칠 때 백4를 흑△에 잇는다면 자살행위가 되므로 그림처럼 를 한다. 흑 실패. 2도 이번에는 흑1로 끊어본다. 백2 때 흑3에 내려서는 수가 좋다. 만일 백4로 A면 흑4, 백B 해도 백의 전멸이다. 흑5로 백 두 점을 잡아도 흑의 실패다. 정해도 흑1에 끊고 백2와 교환 후 흑3, 5면 A, B 양자충에 걸려 백이 잡힌다. 그렇다면 백의 다른 착수는 없을까? 3도 흑1 때 백2로 꼬부리는 수가 좋다. 흑3으로 단수해서 백4 때 흑5로 때려내 준다면 백6으로 살겠지만..... ..

문제20

문제도(흑선) 실전에서 자주 보는 모양으로 귀의 백을 쉽게 잡을 수 있다. 하지만 간단한 모양이지만 그 속에는 완강한 저항이 숨어있다. 상대의 강력한 반격 수단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1도 흑1의 치중이 눈에 뛰는 모양의 요점이다. 백2, 4, 6으로 가 되어 흑의 실패다. 2도 의 가 싫다면 흑3의 마늘모도 있는데, 백은 4로 빠져 3점을 버리고 귀만 사는 수단이 있다. 흑은 여전히 백을 잡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다. 3도 흑1로 먼저 치중한다. 백2부터 10까지 흑이 한 수 늦다. 양쪽 모두 안되니 이제 '끊는' 수만 남았다. 정해도 흑1에 끊고 백2에 흑3으로 치중. 백4 때 5로 빠지는 수가 중요하다. 흑11까지 흑이 한수 빠르다. 수순 중 흑5로 7에 먼저 두면 백5로 젖혀 가 된다. 변화도..

문제19

백에게 포위된 흑 석점, 일정한 공간이 좌우에 있지만 이 백을 잡을 수단이 없을까? 흑1로 뻗어 귀 쪽 백의 을 없앤 후 흑3으로 비집는 수는 백4로 간단히 살아버린다. 만일 백4로 A쪽에서 몰면 흑4로 두어 오궁도가 된다. 흑1에 끊고 백2로 먹여칠 때 흑3, 백4, 다시 흑5로 먹여친다. 백6으로 따내면 흑7로 단수. 백10까지 이 되므로 흑의 최종 실패다. 흑1의 절단이 일차. 백2에 먹여칠 때 흑3. 백4로 꼬부리면 흑5 이하 백8까지 곡사(曲四) 모양으로 산다. 흑1, 백2 교환 후 흑3을 먼저 하고 흑5. 이렇게 보니 백4의 위치가 관건이다. 흑3이 요점, 백4 때 흑5로 귀를 따낸다. 백6에 흑7로 키워 오궁도화로 만드는 것이 요령이다.

문제18

얼핏 백의 모양에 결함이 있어 보이지만, 흑도 백을 잡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 가 나면 실패. 흑1에 끊는 수는 가장 무책한데, 백2로 가볍게 산다. 흑1의 끼움은 일보 진전되 수. 만약 백A로 잡으면, 흑3, 백2, 흑4로 잡는 수단이 있다. 그래서 백2가 냉정하다. 흑3의 단수 때 백A로 딸 수 없기 때문에 백4로 가 된다. 여전히 흑은 백을 잡지 못한다. 흑1에 끊고 백2로 단수하면 흑3으로 끊는다. 백4로 이으면 흑5에 젖혀 아래쪽 백집을 옥집으로 만든다. 그러나 이 결과는 백2의 응수에 문제가 있다. 그림처럼 백2로 아래에서 흑을 모는 것이 좋다. 흑3으로 끊을 때 백4로 내려서서 8까지 사는 수단이 있다. 흑1로 윗쪽을 먼저 끊는 것이 좋은 수. 백2면 흑3으로 밀고 들어가면 백은 두을 만들..

문제17

흑의 안형이 풍부해 보이지만 백의 반격도 만만치 않다. 여러 변화를 구사해 보자. 흑1에 이어 A의 절단을 노린 수. 백2로 늘어준다면 흑3으로 쉽게 살 수 있다. 그러나..... 흑1 때 백2로 먼저 단수, 하변에 파호한다면 흑3으로 끊어 백 한점을 잡는다. 이하 8까지라면 흑의 전멸이다. 그리고 흑3으로 6이면 백4로 두어 역시 흑이 잡힌다. 흑1의 쌍립은 백2 치중 후 4로 이을 때 흑은 5 밖에 없으며 백6으로 먹여치면 A, B 맞보기로 역시 흑이 두집을 내지 못한다. 흑1로 절단, 이는 일종의 사석작전. 흑5의 先手를 위해 백2, 4를 두게 만든 셈이다. 흑7까지 산다. 의 백2로 그림처럼 먹여친다면 흑3. 백4와 흑5는 맞보기. 그런데 백4로 늘 때 흑A로 백 두점을 잡으면 안된다. 백5로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