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는 수40 문제도(백선) 정맥을 찾아야 한다. 1도(정해) 백1의 젖힘이 정해. 이 백1은 흑의 자충을 유인하기 위한 수이다. 2도(계속) 백△에 흑1, 백2, 흑3은 필연적 수순. 여기서 백4, 흑5 다음 백6으로 키워 버리는 것이 수법. 흑7 다음..... 3도(계속) 백1로 먹여치고 흑A로 따내면 백B로 막아 흑은 C에 잇지.. 기경중묘/넘는 수 2019.07.19
넘는 수39 문제도(흑선) 쉬워 보이지만 까다로운 문제다. 1도(정해) 흑1의 마늘모가 정해. 백A로 흑의 넘는 수를 방비하면 흑B, 백C, 흑D로 백이 안된다. 따라서 백은..... 2도(계속) 흑▲에는 백1인데 흑2로 찝는 수가 요령이다. 백3이 불가피하며 그때 흑4로 젖혀 넘는다. 백은 자충이 되는 관계로 A의 곳.. 기경중묘/넘는 수 2019.06.18
넘는 수38 문제도(흑선) <패>를 만들면 실패다. 무조건 넘어야 한다. 1도(정해) 흑1로 찝는 수가 정해. 백에게 A에 둘 것인지 B에 둘 것인지 응수를 물어본다. 백A면 다음 <2도>, 백B면 <3도>가 된다. 그리고 흑의 노림수는 C의 곳이다. 2도(계속) 흑▲에 백1이면 흑2, 백3, 흑4 다음, A, B가 맞보.. 기경중묘/넘는 수 2019.06.04
넘는 수37 문제도(백선) 수순이 정확해야 넘을 수 있다. 1도(정해) 백1이 정해. 이 모양은 <좌우동형은 중앙이 급소>에 해당한다. 흑A는 백B, 흑C, 백D로 간단하다. 그러므로 흑은 C로 막는 한수뿐이다. 2도(계속) 백△에는 흑1이다. 그때 백2면 흑3으로 저항한다. 백4, 흑5는 절대이며 백A로 <패>를.. 기경중묘/넘는 수 2019.05.23
넘는 수36 문제도(흑선) 단수로 몰린 흑 한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포인트. 1도(정해) 흑1이 정해. 이렇게 백의 응수를 묻는다. 백A로 따면 다음 <2도>가 되며, 또 백B면 흑C, 백D, 흑E로 간단히 넘는다. 2도(계속) 흑▲에 백1은 당연한 응수인데 그러면 흑2로 붙인다. 결국 흑6에 끊게 된다. 계속해.. 기경중묘/넘는 수 2019.05.04
넘는 수35 문제도(흑선) 힌트는 백의 자충을 이용하는 것이다. 1도(정해) 흑A하기 전에 먼저 흑1로 젖히는 것이 중요한 수순이며 정해이다. 그러나 초급자들은 흑A를 먼저하기 쉽다. 주의하자. 2도(계속) 흑▲에 백1로 막으면 그 때 흑2한다. 백3이 불가피하므로 흑4가 성립하여 넘어간다. 백A, 흑B가 된.. 기경중묘/넘는 수 2019.04.22
넘는 수34 문제도(흑선) 실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모양. 기본형에 속하는 넘는 수이다. 1도(정해) 흑1이 정해. 2도(계속) 흑1에는 백2, 흑3으로 되는 것이 보통이다. 백2로 A하면 흑2로 끊어도 좋고 흑B 해도 좋다. 다음의 끝내기를 생각하면 흑B쪽이 정수일 것이다. 3도(졸렬) 정해의 넘는 수를 모르고 흑.. 기경중묘/넘는 수 2019.04.09
넘는 수33 문제도(흑선) 실전에도 널리 응용되는 맥이다. 1도(정해) 흑1이 정해이며 오직 이 한수. 흑1과 백1의 선착효과는 안팍으로 30집의 큰 수. 2도(계속) 백2에 흑3 정도 되는 곳. 3도(실패1) 정해를 두지 않고 그림의 흑1이면 백4까지 둔 다음 흑A로 끊어 <패>가 된다. 4도(실패2, 부족함) 이 흑1, 3.. 기경중묘/넘는 수 2019.04.03
넘는 수32 문제도(백선) 여러가지 수가 머리에 떠오르지만 통쾌하게 일격을 가할 수를 찾아보자. 1도(정해) 백1로 끊는 수가 통쾌한 수. 흑의 응수는 A 또는 B. 2도(계속) 백△에 흑1이면 백2. 이 다음 A, B를 맞보아 백은 유유히 넘어간다. 3도(변화) 백△에 흑1의 장문에는 역시 백2로 젖힌다. 흑3, 백4로 .. 기경중묘/넘는 수 2019.03.26
넘는 수31 문제도(백선) 원본의 힌트는 '제1착수가 묘수다'라고 되어 있다. 1도(정해) 백1이 정해. 이 백1은 A와 B를 맞보는 멋진 착수여서 흑 여섯 점을 완전히 잡을 수 있는 귀수(鬼手)다. 2도(계속) 백△에 흑이 백A를 방지해서 흑1하면 백2로 넘어가면서 흑 여섯 점을 잡는다. 3도(변화) 백△ 때 흑이 .. 기경중묘/넘는 수 2019.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