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행마 38형 제38형 좌우동형의 수맥이다. <좌우동형은 중앙에 수있다>라고 한다. 백1 붙임은 그 격언을 따른 셈인데 착수의 의미는 꽤나 고급이다. 백의 노림수는 무얼까? 1도 상대방 집이 완성되기 전에 훼방한다. 이것이 파괴의 원칙이다. 백1 붙임은 상대의 응접를 타진한 수. 흑2로 끌고 좌측에.. 맥(手筋)공부/기본行馬 2018.01.02
기본행마 37형 제37형 흑1의 붙임에 이어서 백2의 붙임. 헛점 투성이 처럼 보이지만 어느 쪽이나 상대돌에 기대어 처리를 하려는 모양새다. 여기서 흑3의 마늘모에 치받는 수가 호수인데 역시 상대의 모양을 무너뜨리는 맥이다. 1도 흑3에 백4로 잇는 것은 부득이한 참음이다. 이어서 흑5, 7의 이단젖힘은 .. 맥(手筋)공부/기본行馬 2017.12.16
기본행마 36형 제36형 백1은 이른바 활용. 흑2의 이음은 지금 시점에서는 절대. 이 교환만으로 흑▲ 한점이 우형이 되는데, 또 한가지 백1의 꼬부림은 다음에 백A로 모자를 씌우는데 필요한 수순이다. 1도 백3의 모자는 이 한수라고 할 호점. 흑4의 꼬부림에 백5로 젖히고 흑6의 붙임에 백7을 활용. 물론 백7.. 맥(手筋)공부/기본行馬 2017.12.02
기본행마35형 제35형 흑의 젖힘에 백1로 끊어 묻는 경우 흑으로서는 귀찮은 수다. 왜냐하면 이 국면에선 흑이 하변의 형세에 중점을 두고 싶은 곳이므로 평범한 대응으로선 흑의 형세가 와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1도 백1로 3.三에 뛰어들고 흑4. 6으로 이단젖힘을 하자마자 백7부터 9의 끊음. 보통 이런 .. 맥(手筋)공부/기본行馬 2017.11.03
기본행마34형 제34형 눈목자 굳힘에서 흑▲으로 한수 더 귀를 지킨 모양. 견고한듯 싶으나 역시 뛰어듦이 있을 수 있으며 그림처럼 백△이 두칸으로 육박하고 있을 경우에는 흑6의 이단젖힘이 좋은 맥이 된다. 1도 <원형>의 이단젖힘에 대해 백7. 9로 한점을 잡는다면 흑은 10, 12로 두점을 끊어 충분.. 맥(手筋)공부/기본行馬 2017.10.27
기본행마33형 제33형(흑선) 흑▲으로 벌린 상황. 보통 두칸 벌림은 근거에 불안이 없는 벌림이라고 하는데 이 경우는 백△이 육박하고 있어 꽤 엷은 모습이어서 실전적인 백1이 모양의 급소가 된다. 1도 흑은 2로 위에서 누르는 정도인데 백3, 5로 움직여 상당한 삭감이다. <눈>이 없는 흑은 중앙을 향.. 맥(手筋)공부/기본行馬 2017.09.22
기본행마 32형 재32형 백1의 마늘모 붙임은 약간 발견하기 어려운 맥이다. 여기서는 백 넉점의 처리가 목적이지만, 이 뒤 A의 치중이 노림수. 1도 평범하게 백1, 3으로 밀고 5로 붙여나가는 것은 속맥이다. 백은 이른바 공배를 둔 결과가 되고 외세도 실리도 모두 흑의 차지가 되고 만다. 2도 백1로 나와 3으.. 맥(手筋)공부/기본行馬 2017.09.06
기본행마 31형 제31형 맥이라기보다 <모양>의 이해를 돕기위해서..... 흑1의 끊음은 대표적인 악형의 견본. 이른바 <빈삼각>으로서 그 자체가 활동성이 나쁜데다 백 두점에 대한 공격도 되지 않는다. 왠만한 초급자가 아니고서는 이런 수를 두지 않는다고 생각되지만..... 1도(진행 수순) 흑1의 어.. 맥(手筋)공부/기본行馬 2017.08.26
기본행마 30형 제30형 이런 모양에서 백1의 날일자 행마는 좋지않다. 흑2의 건너붙임이 안성마춤의 조임 맥이다. 그럼 백1은 어떻게 두는 것이 <모양>일까? 맥과 모양은 표리관계. 요는 어떻게 두면 최고로 돌을 활용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1도 흑1 때 백2면 흑3부터 7까지의 봉쇄가 있다. 2도 생소.. 맥(手筋)공부/기본行馬 2017.08.09
기본행마 29형 제29형 바둑 용어 가운데 <맥>이니 <모양>이니 하는 것들이 있는데 돌의 급소를 말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똑같다. 억지로 분류한다면 <맥>이라 할 경우는 공격적인 테크닉이고 <모양>은 지킴의 급소를 말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백1의 젖힘에 흑이 어떻게 받는 것이 <모.. 맥(手筋)공부/기본行馬 2017.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