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근사전 제147 이런 모양을 보면 한눈에 맥점을 알 수 있어야 한다. 제일감으로 알아낸 다음, 그 후의 변화를 계산해야 한다. 정해도 흑1로 몬 다음, 3으로 옆구리에 붙이는 수가 맥.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흑5로 선수 처리한 후, 흑7의 장문이 맥.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백8, 10, 14로 넘어가는 것으로 일단락. 만일 흑3으로 5에 는다면, 백8로 흑 3점을 잡는다.(축은 흑 불리) 정해 진행도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4.01.30
수근사전 제146 맥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는 실용적인 문제다. 흑이 악수를 두고 방치하면 이런 꼴을 맞이한다. 정해도 백1로 끊는 한 수.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흑2에 백3의 되단수가 올바른 맥. 흑4 이하 11까지 백승. 변화도 흑6 다음 백7의 수법도 성립한다. 백13까지, 만일 흑14로 끊으면 백15 이하 19까지 외길순으로 역시 백승이다. 변화도 진행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4.01.24
수근사전 제145 하변 백의 생사 여부는? 문제가 어렵고 고수들도 실수하기 쉽다. 하지만 고수라도 반드시 확실하게 연구해야 할 것이다. 정해도 흑1의 붙임이 맥이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흑5가 중요하며, 이하 흑11까지 가 되어 백이 잡힌다. 흑1이 비맥의 맥. 참고도 흑1의 치중이 보통의 맥점이다. 하지만 백2로 받으니 이하 백12까지 으로 변한다. 참고도 진행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4.01.11
수근사전 제144 귀의 흑이 살 방법은 없을까? 정확하면서도 세밀함이 없으면 해결할 수 없다. 정해도 첫수 흑1의 껴붙임은 첫눈에 발견할 수 있는 수. 하지만..... 정해도 계속 백4 이하 흑의 일단을 잡아 흑의 무리인 것 같아도 흑19까지 응접하여 흑이 승리한다. 정해 진행도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4.01.04
수근사전 제143 문제가 대단히 어렵지만, 만약 변화를 분명하게 예측할 수 있다면 초단의 실력. 흑진 속의 백 두점을 잡으려면, 등한시해서는 안된다. 정해도 흑1의 배붙임이 맥이다. 백2면 흑3 이하 9까지 공략하여 흑승이다. 또한 백4로 9에 두는 변화도 계산해야 한다. 변화도 흑1, 3 때 만약 백4라면 백10까지 진행. 이때 흑11, 13이 중요한데 백14 이하 흑17까지 양자충이 되어 백이 패하는 모습이다. 변화도 진행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3.12.29
수근사전 제142 바둑 책에도 자주 나오는 모양이므로 잘 기억해 두자. 귀의 백을 잡는 것은 쉬워 보이지만 초보자는 틀릴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다룬다. 정해도 흑1 다음 3에 붙이는 것이 맥이다. 백4, 흑5 이하 11까지 백이 간단히 잡힌다. 수수 중, 흑5로 A에 단수치는 것은 백10에 두게하여 백이 살게 된다.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3.12.24
수근사전 제141 이 문제는 매우 어렵다. 하변 백 대마에 대하여, 흑A가 급소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런 류의 공격은 백을 살려 줄 수 있다. 고수들도 쉽게 눈에 띄기 때문에 급소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정해도 흑1의 건너 붙임이 급소.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만일 백2면 흑3 이하 흑9까지 백이 잡힌다. 참고도 흑1 때 백2로 차단한다면, 흑3, 5가 중요한 맥이다. 백6 때 흑 7에 잇고 이하 11까지 백이 잡힌다. 여기까지의 수순을 읽으려면 반드시 상당한 수읽기가 필요하다 하겠다. 실패도 흑1의 치중이 맥이지만, 백2, 흑3 때 백4로 반발하는 수가 성립하므로 백6까지 흑의 실패.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3.12.08
수근사전 제140 흑A는 백B로 쉽게 살 수 있으므로 흑은 뭔가를 해야 한다. 문제라고 생각하면 알 수 있겠지만, 실전이라면 대부분 흑A, 백B로 살려주기 쉽다. 정해도 흑1의 붙임이 절묘한 맥. 게속해서..... 정해도 계속 흑1에 백은 2로 응해야 하고 흑3에서 5까지 가 된다. 흑1로 A는 백2에 두어 간단히 산다. 참고도 흑3 때 백4로 이으면? 흑5로 내려서고 백6 흑7까지 양자충이 되어 역시 백이 안된다.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3.09.19
수근사전 제139 귀의 특성에 관한 문제다. 백A로 흑 3점을 따내면 흑의 치중으로 백이 잡힌다. 백은 먼저 공을 들여야 한다. 귀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맥을 이용할 줄 모르면 해결할 수 없다. 정해도 백1의 껴붙임이 맥이다. 흑2, 백3으로 가 된다. 흑A는 둘 수가 없으므로 백A로 살 수 있다. 백1이 귀의 특성을 잘 이용한 맥이 아닐 수 없다.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3.09.07
수근사전 제138 쉬운 문제에 속한다. 하변 백을 살리는 것이 목표. 흑의 결함을 파악한 다음 요석을 잡는다. 정해도 쌍립 자리인 백1로 찝는 것이 맥. 흑은 부득불 2에 이어야 하는데, 이 때 백3으로 흑 두점을 잡을 수 있다. 초보자는 제1감으로 백1의 곳을 찾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3.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