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쪽 젖혀 뻗는 형 문제도 백의 바깥 붙임에 대해 흑1로 아래로 젖히고 백2로 끌면 흑3으로 뻗어나가는 것도 두어지는 수단이다. 백에게 근거를 허용하지 않으려는 흑▲의 협공이 준엄한데, 백은 이에 대해 어떻게 착수하면 좋을까? 1도(정해) 백1에 붙인 다음 3으로 곧추세우는 수가 올바른 수순. 예전에는 ..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7.06.08
전환, 협공하고서 공격 문제도 흑1에서 4까지는 흔히 생겨나는 응접이다. 여기서 흑5로 전환해 백을 협공하는 것은 신기한 수단이다. 보통 흑5는 A나 B에 착수하고 백은 C방면에 전개한다는 것이 상식으로 되어 있다. 그것을 이처럼 흑5로 협공하는 것은 때에 따라서는 흥미있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백..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7.04.29
정석책에는 없는 기묘한 수 문제도 정석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흑12의 착수에 놀랄 것이다. 그러나 이는 결코 惡手가 아니다. 그뿐만 아니라 백이 응수를 잘못하면 한꺼번에 흑에게 유리하게 전개되므로 무서운 함정을 지닌 수이다. 그러기 때문에 이 변화를 모르고 있으면 안된다. 정석을 무턱대고 암기만 해서는 지..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7.04.20
백의 붙임수를 유인하는 날일자 백의 붙임수를 유인하는 날일자 문제도 백1의 마늘모는 상용수인데, 여기서 흑은 정석인 A나 B를 두지 않고 이처럼 2로 날일자하는 것이 백을 유인하려는 수단이다. 백에게 C의 붙임수를 두게하려고 하는 것이다. 정석인 흑A나 B의 경우는 백C로 피차 불만이 없는 갈림이 된다. 백이 그때의 ..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7.04.07
끼움수의 변화는? 끼움수의 변화는? 문제도 백△의 붙임에 대해 흑1로 끼우는 수단도 있다. 이것은 백4로 A에 이으면 흑B로 축이 성립할 경우의 수단이다. 따라서 백은 그 축을 피하기 위해 이 4로 단수하는 것이다. [힌트] 흑이 여기서 두는 수단은 두가지이다. 하나는 빵따냄 당하는 것을 싫어해서 C로 내리..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10.25
주문을 거부하는 흑의 뻗음 주문을 거부하는 흑의 뻗음 문제도 백1의 붙임은 흑A를 예상하고 백B로 뻗으려는 작전이었는데, 그러한 백의 주문을 거부해서 흑2로 두는 수단이 있다. 이에 대하여 백은 어떻게 응하면 좋을까 하는 문제이다. [힌트] 서로 힘싸움에 자신이 있는 대국자라면 이 한수가 발화점이 되어 먹느..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10.17
정석은 개혁되고 진보한다 정석은 개혁되고 진보한다 문제도 바둑의 <정석>도 만고불변(萬古不變)의 것은 아니다. 계속되는 연구에 따라 개혁되고 있다. 이 문제의 백1의 마늘모는 흔히 두어지는 수. 여기서 흑2일 때 백3으로 어깨짚는 것은, 흑A라면 백B, 흑C를 교환하여 오른쪽에 백의 세력권을 구축하려는 것..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09.02
옛 바둑에서 옛 바둑에서 문제도 雁金準一(가리가네 준이치)가 예 바둑에서 사용하였던 변화다. 바로 앞에 다룬 내용과 비슷하니 이 경우도 살펴보자. 흑1로 단수하는 것이다. 옛 바둑에서는 상수자는 항상 변화를 찾아서 하수자를 당황하게 하였다. 하수는 그런 상수의 수단에 놀아나지 말고 간명하..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08.28
반대쪽에서 단수하는 방법 반대쪽에서 단수하는 방법 문제도 고목에 걸친 돌에 날일자로 협공하는 것은 많이 두어지는 형인데, 그 진행중에 백6일 때 흑7로 아래쪽에서 단수하는 수단이 있다. 정석은 A로 위쪽에서 단수하는 것으로 백7, 흑B, 백C, 흑D로 되는데 이처럼 흑7로 반대쪽에서 단수를 당했다고 당황해서는 ..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08.23
高川格이 시험한 변화 高川格이 시험한 변화 문제도 흑의 이 구축은 高川秀格 명예 本因坊이 변화시켜서 둔 흥미있는 運石이다. 이것에 대해 백은 어떻게 응수하면 좋은가, 하는 것이 여기서의 문제이다. 물론 백이 손을 빼어서 흑이 A로 이어버리면 흑의 이상형이 되고 만다. 흑이 잇기 전에 백이 두어야만 할 ..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