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한수 54 문제도(흑선) 백진 속에서 수를 내는 문제. 자충을 이용하는 수단인데, 수순이 중요하다. 1도(끊는 맥) 흑1로 끊어 백의 응수를 묻는 것이 중요하다. 백2를 기다려 흑3 이하 7까지 양자충으로 백 두점을 잡을 수 있다. 2도(실패) 흑1의 껴붙임은 상용의 수단이지만, 흑3 이하 백4까지의 결과에..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3.05
제14형 문제도(흑선) 상변 백진을 갈라놓고 싶은데 문제는 백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1도(정해) 흑1로 붙이고 백2 때 흑3으로 맞끊는다. 2도(변화) <1도> 백4로 1에 단수하면 이번엔 흑2로 단수쳐서 흑4로 이어 분단시킨다. 3도(변화) <1도>의 백6으로 따내지 않고 백1로 단수치는 변..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03
제13형 문제도(흑선) 백을 분단시키는 맥점은? 1도(실패) 단순히 흑1로 젖히는 것은 백2로 후속수단이 없다. 2도(실패) 흑1로 찌르고 백2로 막을 때 흑3으로 껴붙이는 것이 일견 맥으로 보이나 백4로 이어서 그만이다. 3도(정해) <2도>와 마찬가지로 흑1로 찌르고 백2로 막을 때 흑3의 끊음이 맥점..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01
제12형 문제도(흑선) 백이 전체적으로 결함이 있어 보인다. 1도(실패) 흑1로 밑으로 빠진 다음 3으로 끊는 것은 혼자만의 수읽기로 손해만 잔뜩 본 셈이다. 2도(정해) 먼저 흑1로 끊고 흑3으로 재차 끊으면 백은 4로 내려설 수밖에 없다. 이때 흑5로 막으면 백은 좌우로 분절된다. 3도(변화) 흑1 때 백2..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01
다음 한수 53 문제도(흑선) 백은 궁도가 넓어 살아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잘 공격하면 백을 잡을 수 있다. 1도(끼우는 맥) 흑1로 끼워 백2로 잡는다면 흑3을 선수하고 흑5의 마늘모가 결정타. A, B 맞보기로 백이 잡힌다. 2도(실패) 흑1의 마늘모를 먼저 두는 것은 수순 착오. 백2면 살아있다. 뒤늦게 흑3으로..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2.26
다음 한수 52 문제도(흑선) 백 모양의 단점을 이용하여 이득을 취하는 문제이다. 어떤 맥점을 구사하는 것이 좋을까? 1도(붙이는 맥) 흑1로 붙이는 수가 적절한 맥점이다. 백2로 한점을 잡는다면 흑3으로 하나 찔러두고 흑5로 넘어 백 일곱점을 잡을 수 있다. 2도(실패) 흑1, 3으로 두는 것은 백4의 마늘모..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2.15
다음 한수 51 문제도(흑선) 백의 약점을 추궁하여 공격하는 문제이다. 최선의 처리는? 1도(자충을 이용한 끊느 맥) 흑1로 끊는 것이 절묘한 맥점이다. 백2에 흑3이 호착이고, 백4가 불가피할 때 흑5로 배붙이는 수가 결정타. 백A면 흑B로 그만. 수순중 백4로 B는 흑A로 안된다. 2도(흑, 미흡) 흑1, 3에 이단 젖..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2.15
다음 한수 50 문제도(흑선) 백을 절단하는 문제이다. 백이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수순을 다하면 백을 끊을 수 있다. 1도(끼우는 맥) 흑1의 끼우는 맥을 시작으로 백2면 흑3으로 찝는 것이 연타석 맥. 이후 A와 B의 맞보기로 백을 분단시켰다. 2도(실패) 백2로 이었을 때 찝는 맥을 놓치고 3으로 따..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2.11
건너붙이기6 문제도(흑선) 화점에 양걸침 정석으로 흑1에 붙여서 백2로 3.三에 뛰어들어 흑3으로 막는데까지는 정석인데 백4로 부딛치는 것은 일종의 속임수다. 이 속임수를 반격하는 수단은? 1도 흑1로 막는 것은 백의 주문. 흑3의 우형을 당하여 좋지 않다. 2도 이런 곳에서는 볼 것 없이 흑1로 내려서..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2.10
건너붙이기5 문제도(백선) 흑1로 들여다보았다. '들여다보는데 잇지 않는 바보는 없다'라 말하지만 백이 이어주면 어떻게 될까? 그 결과가 나쁘다면 다른 대책을 세워야 할 필요가 있다. 1도 흑1 때 이어주면 안된다. 백2로 건너붙이기를 구사해야 한다. 3에 4로 흑은 끊을 수가 없다. 2도 흑1로 모는 한수..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