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칸 뛰는 맥8 문제도(흑선) 백진에 잡힌 흑돌을 어떻게해서든 활용하고 싶다. 좋은 수가 없을까? 1도(정해) 흑1이 멋진 활용의 맥점이다. 잡힌 흑 두점을 이용해서 백진을 크게 유린했다. 2도(실패) 그냥 흑1로 단수하는 것은 최악의 속수다. 3도(변화) 흑1엔 백도 2가 최선이다. 다음 흑3, 5로 상변을 관통..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26
건너붙이기1 문제도(흑선) 백1로 호기롭게 뛰었다. 흑은 격언에 따라 맥점 한방으로 백의 콧등을 꺾어야 한다. 1도 '날일자는 건너붙여라' 흑1로 건너붙여 백의 허점을 추급한다. 서로 불꽃이 튄다. 2도 계속해서 백1로 몰면 흑2 백3에서 흑4로 옥집을 만들어 백은 간단히 전멸이다. 3도 백은 A로 한칸 뛸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26
다음 한수 44 문제도(흑선) 잡혀있는 흑▲ 한점을 이용해 외곽을 봉쇄하고 싶다. 어떤 수단이 있을까? 1도(사석을 이용한 맥) 흑1로 단수치고 백의 응수를 묻는 것이 호착이다. 흑5로 늘어두는 것이 요령. 2도(흑, 미흡) 단순히 흑1로 씌우는 수도 맥점이지만, 백A의 수단이 남아 흑으로선 다소 미흡하다. 3..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1.26
제11형 문제도(흑선) 화점에서 3.三 침입으로 생긴 정석이다. 백△ 두점과 귀의 백의 연결을 막아보자. 1도(실패) 흑1로 젖혀 백 한점은 끊어 잡을 수 있지만 백의 실리가 생각보다 크다. 2도(정해) 흑1의 끼움이 맥점이다. 백2의 단수에 흑3의 연동이 또 맥점이다. 백4에 흑5로 끄는 수가 견실하다. 3..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1.25
옥집의 급소11 문제도(흑선) 중앙의 흑 석점은 빠져나갈 수가 없다. 그러나 아직도 이용할 여지가 있다. 우변의 백의 약점을 찔러서 흑은 물고 늘어지는 것이다. 1도 흑1의 붙임이 옥집의 급소이다. 백2로 이으면 흑3, 5로 젖혀 이어서 확실하게 수가 된다. 2도 계속해서 백1로 이어도 흑2로 막으면 더 반발..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25
한칸 뛰는 맥7 문제도(흑선) 상변 흑3점이 잡힌 모양이지만 백도 허술해 보인다. 잘하면 생환의 길이 열릴 것 같은데..... 1도(실패1) 흑1은 속된 말로 보리선수. 절대 선수지만 후속수단이 없어 실속이 없다. 2도(실패2) 흑1의 단수도 대책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3 다음 4 때 후속수단이 없다. 3도(정해) 흑1의..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25
다음 한수 43 문제도(흑선) 훅1로 침입하자 백2로 붙여 막은 장면이다. 백 진영을 깨고 싶은데..... 1도(건너붙이는 맥) 흑1, 백2를 교환한 후 흑3으로 건너붙이는 수가 적절한 맥점이다. 이후 백은 A와 B중에서 선택하게 된다. 2도(계속) 계속해서 1로 잇는다면 2를 선수하고 4로 잇는다. 3도(변화) 1도 B인 백1..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1.25
제10형 문제도(흑선) 백이 △로 한칸 뛴 모양이다. 흑은 이틈을 노려 이득을 취해보자. 1도(실패) 흑1은 속맥이다. 백의 일부를 취하여 득을 본 것 같으나 백이 다소 두터워 졌다. 2도(정해) 단도직입, 흑1의 끊음이 맥점이다. 백2로 단수칠 때 흑3으로 양단수. 이하 11까지 백은 좁게 산 반면 흑은 외..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1.24
옥집의 급소10 문제도(흑선) 백의 일단을 전부 묶어서 공격하고 싶다. 어디가 옥집의 급소일까? 그리고 어떤 효과를 가져올 것인가? 1도 흑1의 붙임이 옥집의 급소로 대단히 강력하여 백의 응수가 궁해졌다. 2도 흑4, 6으로 몰아 끊으면 상변 백은 한수 가일수 해서 살아야 한다. 3도 백2로 받으면 흑3의 마..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24
한칸 뛰는 맥6 문제도(흑선) 귀의 흑은 두 눈이 없어 살 수 없지만 연결만 하면 살 수 있다. 1도(실패1) 흑1로 젖혀 건너려는 것은 백2, 4로 차단되어 실패다. 2도(실패2) 흑1이 제법 그럴 듯해보이지만 백2로 젖히는 수가 있어 또 실패다. 3도(정해) 거리가 먼듯한 한칸 뜀이 연결의 맥점이다.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