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한수 58 문제도(흑선) 백1로 급소를 공격해 왔다. 흑은 이 방면을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최선일까? 1도(치중하는 맥) 흑1로 2선에 치중하는 것이 수습의 맥점이다. 백2로 받는 정도일 때 흑은 3을 선수하고 5로 귀를 차지하면서 안정한다. 2도(실패) 흑1은 무책이다. 백2의 선수가 쓰리고 백4로 달리면 ..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3.10
건너붙이기11 문제도(백선) 어디가 맥점인지 이젠 직감으로 알 수 있어야 한다. 그 다음의 변화를 읽는 훈련도 필요하다. 1도 백1의 건너붙임이 제일감으로 흑2로 차단하면 백3으로 봉쇄를 빠져나간다. 다음 흑A면 백B, 흑B면 백A이다. 2도 흑2로 이으면 백3, 5로 가볍게 탈출한다. 3도 성급하게 백1로 먼저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3.10
건너붙이기10 문제도(백선) 흑이 몰아 붙여서 백은 쫓기기 바쁘다. 백1로 몰아서 흑2로 뻗었다. 다음 한수가 연구 문제. 백은 안정의 맥점이 절실하다. 1도 백1의 건너붙임이 절호의 맥점. 흑2에 백3으로 끊음과 동시에 잇는 수도 겸하고 있어 흑은 4로 몰 수밖에 없다. 2도 계속해서 1로 몰고 3으로 당당하..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3.10
건너붙이기9 문제도(흑선) 흑1의 다가섬은 절호점이다. 다음에 날카로운 노림수가 있으므로 백은 반드시 A로 내려서 받을 곳이다. 백이 손을 뺏을 경우라면 흑은 어떻게 둘 것인가? 1도 말 할 나위없이 흑1의 건너붙이기다. 2도 백이 2로 받아도 흑3, 5의 절단을 피할 길 없다. 3도 흑1의 모붙임은 속수. 백..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3.10
건너붙이기8 문제도(흑선) 상변 백의 연결이 보기에도 엷어 보인다. 흑이 선수면 분단이 가능한데 두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물론 유리한 것을 택하자. 1도 흑1로 좌측에 붙이는 것이 정수이다. 백은 저항할 수 없어 2로 느는 수밖에 없다. 2도 백2로 차단하면 한번 더 3으로 붙인다. 흑5까지 분단과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3.10
건너붙이기7 문제도(흑선) 이 모양은 접바둑에서 백이 속임수를 걸려는데서 생기는 형이다. 흑1로 끊는 것은 속임수를 부수는 정수이다. 또 백2로 뻗은 다음 끊은 한점을 정확하게 마무리해야 한다. 1도 먼저 흑1로 '건너붙이기'가 속임수를 부수는 맥점이다. 그리고 백2에 흑3의 젖힘을 결정타로 한다.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3.10
제15형 문제도(흑선) 귀의 백 모양에 약점이 있어 보인다. 1도(실패) 흑1로 내려서고 3으로 끼울 때 백4로 늦추어 받는 것이 요령. 백8까지 흑이 안된다. 2도(실패) 이번엔 흑3으로 꼬부려 보지만 역시 백4로 침착하게 내려선다. 흑은 수를 늘이기 위해 5로 한칸 뛰어 보지만 변의 백도 6으로 늘고 8로 ..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10
다음 한수 57 문제도(흑선) 하변 흑이 완생이 아닌 모습을 감안하면 흑A로 사는 정도이다. 그러나 계속해서 백B로 한점을 때리면 C와 D가 맞보기로 흑이 곤란한 모습. 흑으로선 다른 묘착이 없을까? 1도(껴붙이는 맥) 흑1로 껴붙이는 수가 기발한 맥점이다. 백2엔 흑3으로 막는 수가 강렬하다. 백4, 6으로 ..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3.08
다음 한수 56 문제도(흑선) 귀에서 패싸움을 하고 있는 중이다. 흑1로 <패>를 따내자 백2로 자체 팻감을 써왔다. 흑으로선 맥점을 이용하여 백의 팻감을 허팻감으로 만드는 수가 있는데..... 1도(먹여치는 맥) 흑1로 먹여치는 것이 절묘한 맥점이다. 2도(계속) 계속해서 흑1로 따내면 백으로선 단수이..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3.05
다음 한수 55 문제도(흑선) 흑 두점을 이용해 백을 잡는 문제이다. <패>가되면 실패이므로 신중함이 요구된다. 1도(치중하는 맥) 흑1의 치중이 적절한 맥이다. 백2에는 흑3으로 먹여쳐 백을 잡는다. 수수 중 백2로 3이라면 흑A로 그만이다. 2도(실패1) 흑1의 먹여침은 <패>가 나서 실패다. 3도(실패2)..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