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형 문제도(흑선) 출처는 기경중묘이다. 상변 흑이 위험해 보이지만 맥점을 찾아 흑을 살려 보자. 수순이 매우 중요한 문제. 1도(실패) 흑1로 끼워 3으로 끊는 것은 백4로 따내고 나면 아무 수단이 없다. 좀 더 생각해 보자. 2도(정해) 그렇다. 흑1로 끼운 다음 백2의 단수에 다시 흑3으로 끼워 수..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15
버림돌과 조이기6 문제도(백선) 흑1로 꼬부려서 백2로 막고 흑3으로 끊어 왔다. 여기서 당황할 것이라면 애초 백2로 막지 말아야 했다. 버림돌에 의한 교묘한 절충수가 있다. 1도 백1의 장문 수법이 맥점이다. 흑2로 몰면 백3으로 뻗어서 이제는 변화의 여지가 없다. 2도 흑1로 이으면 백2에서 8까지 필연적인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3.15
다음 한수 60 문제도(흑선) 백1로 들여다 본 장면이다. 흑A로 잇기를 기다려 백B의 모자씌움으로 크게 공격하려는 의도이다. 흑으로선 어떻게 수습하는 것이 최선일까? 1도(끼우는 맥) 흑1로 끼워 백의 응수를 살피는 것이 적절하다. 백2, 4로 잡는다면 흑3, 5로 탈출한다. 빵때림은 백의 세력권이어서 가..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3.15
버림돌과 조이기5 문제도(흑선) 소목 정석에서 흑1에 걸쳐 백2, 4로 나오며 끊는 것은 다소 무리지만 이를 추궁하는 방법을 모르면 무리가 그대로 통하게 되어 오히려 힘들게 된다. 1도 이 형에서는 흑1로 뛰는 것이 맥점. 백2로 뻗을 때 3으로 막고 이하 7까지가 하나의 모양이지만 백의 모양은 엷고 흑이 유..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3.12
버림돌과 조이기4 문제도(흑선) 흑이 ▲에 있을 때는 백1로 끊는 것은 무리다. 흑은 끊어 온 백 한점을 잡을 수는 있지만 아슬아슬하다. 1도 잡으려면 외길이다. 흑1, 3에서 강경하게 5로 막는다. 백6으로 끊으면 7, 8로 조인다. 2도 계속해서 백1로 이으면 흑2로 찔러 막아서 백은 빠져 나갈 수가 없다. 백3, 5로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3.12
다음 한수 59 문제도(흑선) 백1로 씌워 압박해온 장면이다. 상대방의 뜻대로 받아주어서는 대세에 뒤지기 십상이다. 1도(붙이는 맥) 흑1로 붙이는 것이 수습할 때의 상용의 맥점이다. 백2로 받는다면 흑3으로 끌어 A의 단점을 선수로 보강한 결과다. 2도(실패) 흑1로 받는 것은 무거운 수로 백의 주문이다...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3.12
제16형 문제도(흑선) 중앙으로 한칸 뛴 백△ 한점이 엷어 보인다. 이점을 추궁해서 이득을 보자. 1도(실패) 흑1이 맥점같아 보이지만 백은 상변을 포기하면서 중앙 백을 두텁게하여 만족. 2도(실패) 흑1의 쌍립자리가 급소이지만 흑3으로 당기면 백4로 연결하여 중앙으로 탈출. 3도(정해) 흑1 때 백2..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11
버림돌과 조이기3 문제도(흑선) 이것도 접바둑에서 흔히 생기는 형이다. 흑1로 몰때에 백2로 뻗어서 금후의 변화에는 축관계가 있다. 가령, <축>에 불리하다해도 흑이 2의 왼쪽을 막는다든지 따위는 있을 수가 없는 것이다. 1도 어쨋든 흑1로 귀에서 막아서 백2에도 흑3으로 막는다. 백4로 끊겨, 여기가 수..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3.11
버림돌과 조이기2 문제도(흑선) 흑1의 이단젖힘에 먼저 백2로 들여다 보기를 강요한 후 백4로 끊은 것은 상용 수순이다. 접바둑에서 흔히생기는 모양이지만 흑의 수완을 시험하는 장면이다. 1도 이럴 경우엔 흑1로 되단수 치는 것이 요령이다. 백2로 따내면 흑3으로 머리를 뻗는 것이 좋은 행마다. 2도 의표를..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3.11
버림돌과 조이기1 문제도(흑선) 우변의 흑 두점이 상변 본진과 떨어져 있다. 이 둘을 연결시켜야 하겠는데 빈큼없이 그리고 두텁게 만들어 보자. 1도 먼저 흑1로 끊어 버림돌을 만든다. 만일 백2로 나오면 계속해서 3, 5로 장문을 만들어 외곽을 봉쇄한다. 2도 만일 흑6까지의 세력을 얻었다면 백이 A로 끊어도..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