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3 문제도(백선) -큰 곳의 조건- 호선의 포석, 3선과 4선의 바둑돌, 각각의 성질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면 급소를 이해할 수 있다. 1도 보다 넓은 빈 곳에 세력을 확대하는 것이 일반적인 포석의 원리다. 다만 그것은 주위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된다. 백1이 대단히 좋은 착수이지만 한가지 마..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5
3일 문제도 (흑선) 좌변의 백 세력이 굉장히 신경 쓰이는 국면이다. 흑은 이 세력을 어떻게 삭감해야 할까? 감각을 테스트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정해도(갈라 놓는다) 백(X) 한점이 좌하와 연결되면 백 세력은 튼튼해진다. 흑1로 어깨를 짚어(밭전자 행마)가야 한다. 백2로 찌르고 나오면 흑3, 5..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5
테스트2 문제도(흑선) (모양보다는 정신이 중요하다) 백1은 상수들이 즐겨쓰는 일종의 유혹작전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응수하는 방법을 한 가지 모양으로써 알아 두는 것 보다는 그 전에 올바른 마음 가짐을 가져야 한다. 생각을 깊이 하고 있으면 그 방법으로도 수순이 정연하여 응용할 수 있을 ..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4
테스트1 문제도(흑선) 접바둑에서 백이 만약 X로 걸쳐 왔을 경우 흑은 어떻게 응수해야 할까? 접바둑의 포석에서는 약간의 의문수는 치명상이 되지 않지만 계속 이러한 것들이 쌓이게되면 어느 정도 되어서는 바둑이 망해버렸다는 염려를 하게 된다. 1도 일반적으로 화점에서 응수하는 방법은 흑1..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4
2일 문제도 (백선) 조용히 포석이 진행 중인데, 다음에 백은 어디 두어야 최선일까? 공격을 겸해 지키는 수도 때론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정해도 (가만히 는다) 우하귀에서 가만히 느는 수가 정해. 이에 흑2로 지키는 정도. 여기서 흑이 손을 빼면, 백 A로 뛰어서 공격한다. 정해 참고도 ..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4
1일 문제도(백선) 현재 우하귀에서 정석이 진행 중이다. 백은 여기서 어떻게 두는 것이 최선일까? 우하귀와 하변의 돌의 배치를 잘 생각해보자. 정해도 (양수 겸장) 정석이라고 해서 막연히 두면 안된다. 여기서는 우상귀의 흑▲이 걸쳐있는 데 주목하고 백1로 꼬부리는 것이 최선이다. 흑2에 ..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3
문제2 문제도 (흑선) 백X를 어떻게 다루느냐가 포인트. 흑이 살기 위해서는 또다른 한집이 필요한 상황이다. 1도(정해) 흑1로 호구치는 것이 묘수. 백2에 흑 3이며, 백2를 A라면 물론 흑2. 2도(실패) 흑1의 단수는 실패. 백2, 4로 무조건 잡힌다. 물론 흑3을 백4로 받으면 <패>가 됨. 3도(실패) 흑1의 .. 사활공부/사활問題100 2014.12.10
문제1 문제도(흑선) 흑이 살려면 또다른 한집이 더 필요하다. 흑 X를 십분 활용해보자. 1도(정해) 흑1, 백2를 교환하고 흑3으로 <2의1>에 붙이는 것이 수순이다. 흑A의 따냄이 선수다. 2도(실패) 흑2로 단순하게 따내는 것은 실패. 백3으로 1 자리에 먹여치면, 흑4로 젖혀서 <패>가 된다. 3도(실.. 사활공부/사활問題100 2014.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