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10 문제도(흑선) -공격의 요령- 상변 백 두점은 얼른 보기에 구출되기 어려운 모양이다. 흑 차례라면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1도(흑, 성급함) 흑1은 너무 성급하다. 공격의 맥이 끊긴다. 2도 1로 모는 것도 2, 4, 6으로 모양좋게 빠져 나간다. 3도(정해1) 여기서 흑3까지의 모양을 보자. 흑1을 A에 두..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22
9일 문제도(백선) 좌하변의 백 석점이 매우 엷은 모양이다. 백을 어떻게 실속있게 지키느냐가 이 문제의 테마이다. 정해도(붙이는 수) 첫수가 백1의 붙이는 수. 흑2로 젖히고 백3으로 맞끊으면 하변의 흑도 약점이 생긴다. 백11까지로 사는 것이 잘 두는 것이다. 도중에 흑4나 6으로 7에 몰면서 ..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21
문제9 문제도(흑선) 자충수에 주의하면서 활로를 찾아보자. 1도(정해, 패) 흑1의 구부림이 정해. 5까지 <패>로 반발한다. 2도(실패 1) 백4의 붙임이 흑의 자충을 추궁하는 묘수로 흑은 살 수가 없다. 3도(실패 2) 흑1에도 2집이 나지 않는다. 사활공부/사활問題100 2014.12.21
테스트9 문제도(흑선) -싸움에 진 개 꼴은 되지 말아라- 지금 귀의 흑이 포위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침착하게 대처해야 한다. 이와같은 경우에 싸움에 진 개처럼 꼬리를 숨겨선 안된다. 1도 흑1로 방어하면 물론 안정은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굴복은 거의 아무런 방법이 없을 경우에 한해서 사용..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21
8일 문제도(흑선) 여러군데 큰 곳이 보이긴 하지만, 이 국면에서는 큰 곳보다도 급한 곳이라는데 촛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정해도(선제 공격) 이 국면에서의 급한 곳은, 하변 흑▲ 한점이 공격 당하기 전에 흑1로 백의 진로를 막아서면서 백■ 석점을 공격하는 것이 정해다. 백2로 움직이면서 ..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20
문제8 문제도(백선) 중앙에 반집, 아래쪽에서 선수로 한집이 나면 살 수 있다. 1도(정해) 백1이 집을 내는 급소. 흑2에 백3. A,B가 맞보기 2도(실패1) 백1의 호구는 실패. 흑2로 끊고 4의 단수에 6까지 백 잡힘. 3도(실패2) 백1도 흑2, 4에 잡힘. 2가 쌍방간의 급소임을 알 수 있다. 사활공부/사활問題100 2014.12.20
테스트8 문제도(흑선) -모양과 수읽기- 수를 읽는 다는 것은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다. 모양에 대해서 예민하면 이미 이야기는 전개된 것이다.이 모양을 주의깊게 살펴볼 때 머리 속에 유리한 수순이 번개처럼 떠올라야 한다. 1도 단순히 흑1로 막는 것은 아무런 전략이 없는 수다. 2도(정석) 흑▲..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20
7일 문제도(흑선) 수비와 공격, 어느 쪽을 중시해야 좋을지 중대한 분기점에 와 있다. 우상귀와 변의 흑세는 아직 완전한 자기 집이 아니다. 그 까닭은..... 정해도(커다란 실리) 우상귀 흑1의 지킴이 최대. 이 한수로 우상귀 일대가 굉장히 커졌다. 같은 지킴이라도 흑A나 B로는 백C의 3.三 침입..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9
문제7 문제도(백선) 안형의 급소는? 1도(정해) 백1이 급소로, 흑2라면 백3으로 삶. 이 다음 흑A면 백B. 흑2를 3에 두면 백A로 삶. 2도(실패1) 백1로 두고 싶은 모양이지만 흑2에 두집이 나지 않는다. 3도(실패2) 백1로 궁도를 넓히는 것도 실패다. 흑2로 붙여오면 흑4, 6이 성립한다. 사활공부/사활問題100 2014.12.19
테스트7 문제도(흑선) 잘 아는 붙여뻗기 정석이다. 백이 A를 소홀히 했을 때 흑의 노림은? 1도 가장 좋지 않은 방법이다. 공격해야 될 돌을 간단하게 안심시킨 이적행위이다. 2도(정석) 흑1의 급소에 백의 행마가 곤란해졌다. 백2에 흑3으로 강력하게 젖혀 우형으로 만들고, 그 다음 흑5로 방어한다. ..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