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문제도(흑선) 상변에 백X로 침공해 왔다. 흑은 어떻게 응수해야 할까. 백X를 잡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정해도(리듬에 따라 둔다) 침공해 온 백X를 직접 잡으러 간다고 해도 잘 안된다. 흑1로 씌워서 응수를 기다리는 것이 정수. 백2로 모행마하면 다음에 흑3으로 공격하는 것이 리듬. 백4..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8
문제6 문제도(흑선) 백X의 젖힘에 안형을 빼앗겼다. 사는 길은? 1도(정해) 먼저 흑1로 내려서서 빗 6궁의 삶을 노린다. 백2, 4라면 흑5의 끼움이 있다. 2도(건너감) 백6, 8로 집을 못내게 하면 흑9로 오른쪽 흑과 연결할 수 있다. 3도(두 집) 백3으로 건너가는 것을 방해하면 흑4, 6으로 두 집을 확보할 .. 사활공부/사활問題100 2014.12.18
테스트6 문제도(백선) 흑1, 3의 응수에 함정은 없는가? 1도 백1밖에 도리가 없는 것 같지만 이렇게 되면 2로 넘어 흑의 계산대로다. 2도(정석) 여기에는 백1의 강력한 수가 숨겨져 있다. 흑2일 경우 백3으로 끊어 양분된다. 이하 백7까지 되면 오른쪽 흑 일단이 고립되어 재미가 없다. 3도 흑의 상황에..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8
테스트5 문제도(흑선) 상대를 봉쇄하는 마음 가짐. 백은 X의 묘한 곳에서부터 수를 사용해 모양을 없애는 작전이다. 비록 상변이 당하더라도 선수를 빼앗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1도 큰 모양에만 관심을 두어 귀를 전혀 무시하게 되면 흑1~5 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의 경우 실리적으로 손해..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7
문제5 문제도(백선) 나머지 한집을 아래 쪽에서 내야 한다. 1도(정해) 백1로 막는 수가 유일하다. 다른 수는 모두 잡힌다. 5까지 진행되고.....다음 2도(정해 계속) 당연히 흑6으로 먹여칠 때, 백은 따내지 않고 7로 잇는다. 흑8로 백 넉점을 따내지만.....다음 3도(후절수, 돌 밑) 백9로 끊어서 산다. 바.. 사활공부/사활問題100 2014.12.17
5일 문제도 (백선) 상변, 좌변, 하변에 너무 갈 곳이 많다. 그러나 그 가운데서도 특히 급하게 갈 곳은 어딜까? 정해도 (공방의 요처) 이 국면에서는 좌변의 백돌이 불안하다. 따라서 백1의 모행마가 다른 곳보다 우선 순위가 된다. 더우기 이 백1은 단순히 좌변을 지키는 것만이 아니라 상대의 ..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7
문제4 문제도(백선) 오른 쪽 백 넉점에 주목. 이 모양은 어디서 많이..... 1도(정해) 백1로 두는 오직 한 수 뿐이다. 그리고 흑2에는 상관말고 백3으로 한집 확보하는 것이 좋다. 2도(정해 계속) 흑이 백 넉점을 들어낸 다음, 백 5로 끊는 수가 남아 있다. 이것이 이른바 '후절수'다. (일본에서는 이를 '.. 사활공부/사활問題100 2014.12.16
4일 문제도(백선) 서로가 세력을 구축하는 바둑이 되어 있다. 이런 때는 어딘가에 피차 선점해야 할 곳이 있는 법이다. 정해도(쟁탈의 요처) 서로 큰 세력을 구축할 때는 자기 세력을 넓히면서 상대의 세력을 삭감하는 것이 좋다. 이 국면에서는 백1로 뛰는 수가 정해. 흑2로 변을 지키면 백3으..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6
테스트4 문제도(흑선) 외세를 확장하고 싶을 때..... 백1로 붙이는 수법은 흑 모양을 깨려고 할 때 주로 사용되는 전술이다. 이에 대하여 흑이 귀의 실리를 중시할 경우에는 A로 방비하며 지킨다. 반대로 중앙 쪽에 세력을 확장하려면 이번에는 흑2로 밖에서 젖혀둔다. 이때 백3으로 2단 젖힘 작전에 ..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6
문제3 문제도 (흑선) 흑A라면 백B로 안된다. 이대로는 어렵다. 어떤 묘수가 필요할까? 1도(정해) 흑1의 젖힘이 포인트. 백2와 교환하고 나서 흑3으로 먹여치면, 환격의 수가 있어 살 수 있다. 2도(변화) 흑1의 젖힘에 백2로 이으면 흑3이 선수가 되므로, 흑5로 간단히 살 수 있다. 3도(실패) 흑1로 먹여.. 사활공부/사활問題100 2014.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