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한수 39 문제도(흑선) 잡혀있는 흑 두점을 이용하여 형태를 결정하려고 한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최선일까? 1도(치중의 맥) 흑1이 잡혀있는 두점과 호응하는 맥점이다. 흑3 이하 7까지 큰 성과를 얻었다. 2도(실패) 흑1, 3으로 축을 겨냥하는 것은 백4가 호착이라 뜻대로 되지 않아 실..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1.20
한칸 뛰는 맥2 문제도(흑선) 귀의 수상전이다. 과연..... 1도(실패) 수상전이라고 해서 우직하게 흑1로 공배를 메워가는 수는 곤란하다. 백2로 단수친 다음 백4, 6으로 젖혀 내려서는 수가 있어 흑이 모두 잡힌다. 2도(정해) 흑1로 한칸 뛰는 수가 승리의 맥점. 백2로 젖힐 때 흑3으로 치중하고 백4면 흑5. 이 ..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19
다음 한수 38 문제도(흑선) 흑1로 젖히자 백2로 막은 장면. 백2는 A로 두어 사는 것이 정수. 그렇다면 백을 잡을 수 있는 맥점은? 1도(치중의 맥) 흑1의 치중이 맥점이다. 2도(실패) 흑1로 젖히는 것도 급소처럼 보이지만, 백2로 막아 귀의 백 석점은 잡지만 4, 6으로 살아 흑의 실패다. 3도(변화) 흑1의 치중에..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1.19
옥집의 급소5 문제도(흑선) 백의 모양이 언뜻 보기에는 정연한 것 같지만 큰 결함이 있다. 그것을 안다면 백을 근거부터 뒤흔들어 큰 전과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 1도 흑1로 붙이는 것이다. 백이 A, B로 한집을 만드는 것을 상상하면, 이것 역시 옥집의 급소가 되는 것이다.백2로 막으면 흑3으로 젖힌다. 2..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18
한칸 뛰는 맥1 문제도(흑선) 허술한 흑진에 백이 젖혀왔다. 수습하는 흑의 맥점은? 1도(실패1) 흑1로 젖히면 백2의 되젖힘에 흑이 실패다. 2도(실패2) 흑1로 젖히고 3으로 끊어도 백4로 실패. 3도(정해) 흑1의 한칸 뛰는 수는 실전에도 활용 빈도가 높은 맥점이다. 이 한수로 A, B 맞보기로 흑이 안정되었다.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18
다음 한수 37 문제도(흑선) 백의 단점이 많아 보이는데 어디서부터 추궁하여 수단을 부릴까? 1도(끊는 맥) 흑1로 끊는 것이 맥점이다. 백2로 몰 수밖에 없을 때 흑3으로 맞끊는 것이 연이은 맥점이다. 2도(실패) 흑1로 끊는 것은 백2로 잡아 수가 되지 않는다. 흑3으로 끊어도 백4로 안 된다. 3도(백의 최선) ..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1.18
붙이는 맥4 문제도(흑선) 실전에 많이 나오는 형태인데 그냥 잡기는 어려워 보인다. 패라도 내면 성공. 1도(실패1) 흑1의 치중은 실패. 흑5로 환격을 노려도 백6으로 산다. 흑3으로 A의 곳을 두면 백3. 2도(실패2) 그냥 흑1의 젖힘은 알기 쉽게 살려주는 수다. 3도(정해) 흑1의 껴붙임이 좋은 맥. 백2로 빠질 ..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18
붙이는 맥3 문제도(흑선) 귀의 흑이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여있다. 백이 A로 건너거나 B로 파호하면 살 수 없는 형태다. 이 난국을 수습할 묘수는? 1도(실패) 그냥 흑1로 백 두점의 건넘을 차단하는 수는 안된다. 당장 백2로 파호해 살 수 없다. 흑3으로 젖혀도 백4로 꼬부려 안된다. 2도(정해) 흑1의 껴붙..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18
옥집의 급소4 문제도(흑선) 소목에의 한칸 높은 걸침, 작은 눈사태 정석의 한 형이다. 흑은 우변의 모양을 굳히고 싶은데 백의 약점을 찔러서 좋은 수순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1도 흑1이 옥집의 급소. 흑3으로 4를 강요하고 흑5로 모양을 갖춘다. 2도 백2로 젖혀오면 흑3으로 되젖히는 것이 맥점이다.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17
옥집의 급소3 문제도(흑선) 흑1의 뻗음에 대해 백2로 모행마한 것은 여기에 걸쳐오는 것이 싫어서 둔 것인데 이것은 방향착오다. 백은 우변의 수비가 급선무다. 백의 실수를 문책하자. 1도 흑1의 모행마가 옥집의 급소다. 백2의 이음에 흑3의 다가섬이 통렬하다. 2도 계속해서 백이 저항을 할수록 백은 망..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