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한수 32 문제도(흑선) 소목에서 백이 일종의 속임수를 구사해온 장면이다. 흑1, 3을 선수하고, 계속해서 잡혀있는 흑 석점을 활용하여 형태를 결정하는 것이 관건인데, 어떻게 두는 것이 최선일까? 1도(축의 맥) 흑1로 끊어 흑3으로 회돌이 형태로 유도하는 것이 요령이다. 계속해서 백4로 나간다면 ..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1.13
잇는 법10 문제도(백선) 흑1로 들여다 봤다. A를 이으면 B로 끊고, B를 이으면 A로 끊는다. 두 군데의 단점을 보완하는 맥점은? 1도(정해) 백1로 붙이는 수가 묘수다. 5까지 필연인데 흑은 A로 나가 끊을 수가 없다. 백은 두가지 단점을 동시에 해결했다. 2도 흑2쪽으로 막아도 마찬가지. 백3으로 이으면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12
붙이는 맥31 문제도(흑선) 흑 석점이 달아나기는 어렵다면 백을 잡아야 하는데, A, B가 선수긴 한데 뭔가 미흡하다. 1도(속수) 흑1은 속수다. 6까지 수상전인데... 2도(실패) 흑1부터 조여도 백6까지 패. 백을 잡을 수 있는데 패가 났다면 흑의 실패다. 3도(정해) 흑1로 먼저 붙이는 수가 정해. 이하 5까지 흑..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12
다음 한수 31 문제도(흑선) 흑▲은 쌍방간의 요처다. 흑▲로 밀면 백은 응수를 하는 것이 보통인데, 손을 뺀 장면이다. 계속해서 흑은 백의 손뺌을 추궁하고 싶은데, 어떻게 처리할까? 1도(모양의 맥) 흑1이 백 모양의 맥점이다. 백2도 급소고 정수이다. 계속해서 흑3으로 한칸 뛰어 세를 확장하는 자세가..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1.12
잇는 법9 문제도(흑선) 백1로 나오고 3으로의 꼬부림은 흔한 속수에 해당된다. 그렇다고 흑이 응수하지 않으면 안된다. 활력있는 수를 생각해 보자. 1도 흑1로 뛰는 것이 가장 활력있는 응수다. 이것으로 백으로부터 끊어오는 수도 없으며 도리어 A의 노림도 있어 백은 이를 방비하지 않으면 안된다...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12
붙이는 맥30 문제도(흑선) 왼쪽 모양만 보면 흑이 1수 부족이다. 결론은 A, B의 단점을 활용하는 것이 관건이다. 1도(정해) 흑1의 붙임이 급소. 백2로 후퇴하면 흑3으로 수가 늘어 왼쪽을 잡아 백 모두 잡힌다. 그러므로 백은... 2도(변화) 흑1에는 백2로 흑 두점을 잡는 정도다. 그때 흑3, 5로 끊어 백 일곱점..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12
붙이는 맥29 문제도(흑선) 느낌이 온다. 그러면 감각을 믿어보자. 단순한 끝내기가 아닌 멋진 감각적인 맥은? 1도(실패) 흑1의 끊음이 눈에 들어 오지만 이수는 백 6까지 끝내기 정도로 만족해야 한다. 2도(정해) 흑1의 붙임이 묘수. 이런 곳을 단번에 찾았다면 감각을 자랑할 만한 수준이다. 백은 패로 ..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12
붙이는 맥28 문제도(흑선) 귀의 수상전은 백이 한수 빠르고 형태도 나무랄데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포기란 있을 수 없다. 1도(정해) 별것 아닌 듯하지만 흑1이 백의 자충을 유도하는 급소다. 2도(변화) 흑1에 백2로 따내면 이제는 흑3으로 이어 수가 늘어 흑이 이긴다. 역시 자충은 무섭다. 3도(실패) 흑1..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12
붙이는 맥27 문제도(흑선) 이대로 방치하면 귀의 흑도 안전하지 못하다. 귀에 가일수하기는 싫고 백△ 두점만 잡아도 모두 해결될 것 같은데.... 1도(실패) 흑1로 끼워 백2 때 흑3, 5로 돌려치는 수도 그럴 듯하지만 백4, 6이면 흑 두점이 잡히고 흑7로 백 석점을 따낼 때 백8로 귀가 잡혀 실패다. 2도(정해) ..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12
붙이는 맥26 문제도(흑선) 흑이 자체로는 살 수 없는 어려운 형태다. 뇌리를 스치는 감각은 흑▲ 두점을 어떻게 활용할까...이다. 1도(실패) 흑1, 3으로 빠져나올 수는 있지만 생불여사가 아닐까? 2도(정해) 흑1의 멋진 맥으로 A, B가 맞보기가 되어 어느쪽이든 한쪽 백이 잡힌다. 흑1은 두점머리에 해당하..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