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형 문제도(흑선) 쉬운 듯 어려운 문제이다. 흑의 공격에 백의 저항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1도(실패) 흑1이 얼핏 맥점같아 보이지만 백6까지 흑의 실패이다. 2도(정해) 흑1부터 먼저 끼우는 수순이 중요하다. 백2에 흑3의 껴붙임과 흑5의 절단이 훌륭한 맥이다. 백A면 흑B. 맞보기다. 3도(변화) 흑1..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4.16
제24형 문제도(흑선) 백의 모양이 너무 튼튼해서 빈틈이 없어 보인다. 주위의 환경을 세심하게 살펴 화려한 맥점을 구사해 보자. 출처는 <기경중묘> 1도(실패) 흑1에 백2는 필연이며 흑3이 너무나 평범하며 백4의 호구이음으로 백은 연결하였다.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2도(정해) 흑1에 백2는 ..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4.15
한칸 뛰는 맥/응용8 문제도(흑선) 흑진에 갇힌 백의 형태는 생사여부가 불분명해 보인다. 백을 잡는 방법은 안형을 옥집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1도(실패) 침착해 보이는 흑1의 내려섬은 백2로 안형을 갖추고 나면 더 이상 방법이 없다. 2도(정해) 흑1의 한칸 뜀이 백을 잡는 맥점. 백2엔 흑3으로 붙여 옥집을 만..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4.15
제23형 문제도(흑선) 약점이 없는 듯해 보여도 의외의 곳에서 약점이 발견되기도 한다. 원도는 <기경중묘> 소재 1도(실패) 흑1에 끼워 3으로 끊는 것이 유력한 수단이지만, 백4로 따내고 흑5에서 9까지 <패>가되어 실패다. 2도(정해) 흑1로 찝는 것이 맥점으로 백2, 4에 흑5로 다시 끊은 다음 ..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4.14
한칸 뛰는 맥/응용7 문제도(흑선) 흑이 당장 손을 쓰지 않으면 백 한점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든 건너는 수가 있다. 그 순간 흑은 꼼짝없이 잡히게 된다. 효과적인 한수로 백이 건너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1도(실패1) 흑1로, 백이 오른쪽으로 건너는 수를 방지해 백2에 흑3으로 한점을 잡아 사는 듯..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4.14
한칸 뛰는 맥/응용6 문제도(흑선) 위기다. 당장 손을 쓰지 않으면 백△가 움직여 흑 두점이 떨어질 형편. 흑 전체가 살려면 어떻게해야 할까? 1도(실패1) 흑1로 백 한점을 잡아 흑 두점이 떨어지는 위험은 면했지만 흑7 때 백8이 묘수로 A, B의 맞보기로 흑이 안된다. 2도(실패2) 흑1쪽으로 몰아도 결과는 마찬가지..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4.13
제22형 문제도(흑선) 상변 백은 한집뿐이므로 살기위해 우상귀의 백과 연결을 도모해야만 한다. 이를 막기 위한 흑의 반격은? 1도(실패) 흑1로 붙이기 쉽상인데, 딱 실패하기 좋은 수다. 백2로 따라 붙고 흑3으로 단수칠 때 백4에 두면 흑5로 두점을 잡아도 백6으로 되따내어 백은 서로 연결된다. 2..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4.12
한칸 뛰는 맥/응용5 문제도(흑선) 상변쪽은 먼저 두면 백 두점을 잡을 수 있지만, 그때 백이 귀쪽으로 뛰어들면 살기 어렵다. 그렇다고 귀를 지키면 변의 흑이 잡히는데 귀의 공간만으로 살 수 있을지..... 1도(실패) 흑1로 백 두점을 잡고 살 수 있다면 알기 쉽다. 하지만 백2로 미끄러져 들어오면 두집이 나지 ..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4.12
한칸 뛰는 맥/응용4 문제도(흑선) 백의 형태를 보자. 흑 한점을 잡은 데다 귀의 공간도 넉넉해 완벽하게 살아있는 둣하지만 분명 공략할 수 있는 급소가 있다. 백의 자충을 이용해 멋지게 잡아보자. 1도(실패) 흑1은 상대의 약점을 보강시켜주는 이적행위이다. 백2로 완벽한 1집이 되면 흑1의 한점도 움직일 수..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4.10
한칸 뛰는 맥/응용3 문제도(흑선) 얼핏 보면 귀의 흑은 살기 힘든 형태로 보인다. 그러나 흑을 에워싼 백의 헛점을 찾아내어 삶을 모색해 보자. 1도(실패) 흑1은 너무 안일한 수이다. 단수치면 당연히 이어줄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버리자. 백2로 젖혀 반발하면 흑이 패를 감당해야 하는데 그 자체로 실패다. 2도..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