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형 문제도(흑선) 쉬운 듯 어려운 문제이다. 흑의 공격에 백의 저항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1도(실패) 흑1이 얼핏 맥점같아 보이지만 백6까지 흑의 실패이다. 2도(정해) 흑1부터 먼저 끼우는 수순이 중요하다. 백2에 흑3의 껴붙임과 흑5의 절단이 훌륭한 맥이다. 백A면 흑B. 맞보기다. 3도(변화) 흑1..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4.16
제24형 문제도(흑선) 백의 모양이 너무 튼튼해서 빈틈이 없어 보인다. 주위의 환경을 세심하게 살펴 화려한 맥점을 구사해 보자. 출처는 <기경중묘> 1도(실패) 흑1에 백2는 필연이며 흑3이 너무나 평범하며 백4의 호구이음으로 백은 연결하였다.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2도(정해) 흑1에 백2는 ..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4.15
제23형 문제도(흑선) 약점이 없는 듯해 보여도 의외의 곳에서 약점이 발견되기도 한다. 원도는 <기경중묘> 소재 1도(실패) 흑1에 끼워 3으로 끊는 것이 유력한 수단이지만, 백4로 따내고 흑5에서 9까지 <패>가되어 실패다. 2도(정해) 흑1로 찝는 것이 맥점으로 백2, 4에 흑5로 다시 끊은 다음 ..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4.14
제22형 문제도(흑선) 상변 백은 한집뿐이므로 살기위해 우상귀의 백과 연결을 도모해야만 한다. 이를 막기 위한 흑의 반격은? 1도(실패) 흑1로 붙이기 쉽상인데, 딱 실패하기 좋은 수다. 백2로 따라 붙고 흑3으로 단수칠 때 백4에 두면 흑5로 두점을 잡아도 백6으로 되따내어 백은 서로 연결된다. 2..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4.12
제21형 문제도(흑선) 맥점을 잘 활용하여 좌우 백을 차단시켜 보자. 1도(실패) 흑1로 내려서면 백2로 끊어 이하 6까지 흑이 안된다. 2도(정해) 흑1의 껴붙임이 백을 추급하는 맥점이다. 백2로 이으면 흑3으로 같이 이어 백을 차단할 수 있다. 3도(변화) 흑1 때 백2로 단수하면 3으로 뻗고 백4에 흑5로 같..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4.08
제20형 문제도(흑선) 이런 형태의 맥점은 백의 응수에 따라 의외성이 증폭된다. 1도(실패) 흑1의 끼움은 백10까지 흑의 중앙 세력은 두터울지라도 백의 실리가 너무 커서 불만이다. 2도(정해) 흑1의 끼움에 백2로 받으면 흑5까지 대전과를 올린 흑의 성공이다. 3도(변화) 이번에는 백2로 응수하면 흑3..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30
제19형 문제도(흑선) 의외의 맥점 1도(정해) 흑1이 의외의 맥점이다. 백2에는 흑3이 교묘한 수순이다. 백A면 흑B에 백 석점이 잡힌다. 2도(변화) 흑1에 백2로 이으면 흑3으로 끈다. 백4에 흑5로 끊어 7까지 백다섯점이 잡힌다. 3도(변화2) <2도>의 백6으로 1에 젖히면 3까지 <패>로 버틸 수 있다. ..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20
제18형 문제도(흑선) 우상 쪽 백의 연결이 부실해 보인다. 실전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상용의 맥점은? 1도(실패) 흑1로 나가 3으로 단수쳐 5로 젖히는 것은 전형적인 속수다. 더구나 백을 잡으려 7로 <패>를 감행하는 것은 승부수가 아닌바에는 큰 손해가 될 수 있다. 2도(정해) 바둑 격언에 '날..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17
제17형 문제도(흑선) 출처는 기경중묘이다. 상변 흑이 위험해 보이지만 맥점을 찾아 흑을 살려 보자. 수순이 매우 중요한 문제. 1도(실패) 흑1로 끼워 3으로 끊는 것은 백4로 따내고 나면 아무 수단이 없다. 좀 더 생각해 보자. 2도(정해) 그렇다. 흑1로 끼운 다음 백2의 단수에 다시 흑3으로 끼워 수..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15
제16형 문제도(흑선) 중앙으로 한칸 뛴 백△ 한점이 엷어 보인다. 이점을 추궁해서 이득을 보자. 1도(실패) 흑1이 맥점같아 보이지만 백은 상변을 포기하면서 중앙 백을 두텁게하여 만족. 2도(실패) 흑1의 쌍립자리가 급소이지만 흑3으로 당기면 백4로 연결하여 중앙으로 탈출. 3도(정해) 흑1 때 백2..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