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형 문제도(흑선) 귀의 백 모양에 약점이 있어 보인다. 1도(실패) 흑1로 내려서고 3으로 끼울 때 백4로 늦추어 받는 것이 요령. 백8까지 흑이 안된다. 2도(실패) 이번엔 흑3으로 꼬부려 보지만 역시 백4로 침착하게 내려선다. 흑은 수를 늘이기 위해 5로 한칸 뛰어 보지만 변의 백도 6으로 늘고 8로 ..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10
제14형 문제도(흑선) 상변 백진을 갈라놓고 싶은데 문제는 백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1도(정해) 흑1로 붙이고 백2 때 흑3으로 맞끊는다. 2도(변화) <1도> 백4로 1에 단수하면 이번엔 흑2로 단수쳐서 흑4로 이어 분단시킨다. 3도(변화) <1도>의 백6으로 따내지 않고 백1로 단수치는 변..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03
제13형 문제도(흑선) 백을 분단시키는 맥점은? 1도(실패) 단순히 흑1로 젖히는 것은 백2로 후속수단이 없다. 2도(실패) 흑1로 찌르고 백2로 막을 때 흑3으로 껴붙이는 것이 일견 맥으로 보이나 백4로 이어서 그만이다. 3도(정해) <2도>와 마찬가지로 흑1로 찌르고 백2로 막을 때 흑3의 끊음이 맥점..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01
제12형 문제도(흑선) 백이 전체적으로 결함이 있어 보인다. 1도(실패) 흑1로 밑으로 빠진 다음 3으로 끊는 것은 혼자만의 수읽기로 손해만 잔뜩 본 셈이다. 2도(정해) 먼저 흑1로 끊고 흑3으로 재차 끊으면 백은 4로 내려설 수밖에 없다. 이때 흑5로 막으면 백은 좌우로 분절된다. 3도(변화) 흑1 때 백2..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3.01
제11형 문제도(흑선) 화점에서 3.三 침입으로 생긴 정석이다. 백△ 두점과 귀의 백의 연결을 막아보자. 1도(실패) 흑1로 젖혀 백 한점은 끊어 잡을 수 있지만 백의 실리가 생각보다 크다. 2도(정해) 흑1의 끼움이 맥점이다. 백2의 단수에 흑3의 연동이 또 맥점이다. 백4에 흑5로 끄는 수가 견실하다. 3..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1.25
제10형 문제도(흑선) 백이 △로 한칸 뛴 모양이다. 흑은 이틈을 노려 이득을 취해보자. 1도(실패) 흑1은 속맥이다. 백의 일부를 취하여 득을 본 것 같으나 백이 다소 두터워 졌다. 2도(정해) 단도직입, 흑1의 끊음이 맥점이다. 백2로 단수칠 때 흑3으로 양단수. 이하 11까지 백은 좁게 산 반면 흑은 외..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1.24
제9형 문제도(흑선) 변의 돌을 끊는 문제. 응용범위가 넓은 기본 맥이다. 1도(실패) 단순히 흑1로 따내어서는 백2로 연결하므로 실패다. 2도(정해) 흑1의 건너붙이기가 맥이다. 백2의 이음과 흑3의 끊음은 외길이다. 백4로 단수하면 5로 끊고 7의 축으로 몰아 일단락. 멋지게 끊은 결과이다. 3도(변화..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1.05
제8형 문제도(흑선) 귀의 흑 넉점의 생사여부는 어찌될까? 만일 흑이 살게된다면 우변 백은 자동으로 잡힌다. 1도(실패) 흑1의 들여다보기는 근처 백을 공격하기 위한 수단이지만 이 국면에서는 어울리지 않는다. 2도(실패 계속) 백2로 잇고 흑3으로 빗대지만 백6으로 이어 봉쇄마저 되지 않으며 ..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1.01
제7형 문제도(흑선) 흑▲ 다음 A까지 늘 순 없다. 흑의 타개책은? 1도(정해) 흑1로 젖히고 3으로 끊는 수가 맥이다. 7까지 흑이 성공이다. 2도(변화) <1도>의 백6으로 백1로 절단한 변화이다. 이 <패>는 백이 부담이 크다. 3도(변화) 흑1의 끊음에 백2의 반발도 당연해 보인다. 흑7까지 일단락되..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4.12.31
제6형 문제도(흑선) 백의 좌우 연결을 막아라. 1도(실패) 단순히 흑1로 두는 것은 초급자의 수이며 대악수다. 2도(실패) 흑1로 두면 백2로 두어 넘어가는 것과 A로 빠져 나가는 것이 맞보기다. 3도(정해) 흑1의 단수가 넘어가는 것을 막는 맥이다. 이하 7까지 상변 쪽 백 두점을 차단하여 잡을 수 있..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4.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