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형 문제도(흑선) 돌을 잡으려면 주위의 상황을 먼저 살피고 충분한 수읽기를 해서 비로소 실행에 옮겨야 한다. 멋진 맥점을 구사해 흑 두점을 구출해 보자. 1도(정해) 먼저 흑1로 단수칠 수 있는 이유는 왼쪽에 흑2점이 있기 때문이다. 즉, 주위의 상황에 해당한다. 2도(정해 계속) 백4로 막으면..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8.18
제9형 문제도(흑선) 상변 흑 석점을 구하는 맥점은? 1도(정해) 흑1의 날일자 씌움(일종의 장문)이 정맥으로 백의 모양의 급소며 응용 범위가 넓은 맥점이다. 2도(정해 계속) 백2의 호구는 3으로 그만이다. 3도(실패1) 흑1은 2로 살짝 꼬부려 나와 3으로 씌워도 4로 밀고 6으로 연결해서 흑의 실패. 4도(..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8.11
제8형 문제도(흑선) 상변 흑 4점과 사분오열된 흑을 아우르는 쾌도난마의 맥점은? 1도(정해) 흑1이 모두를 만족시키는 쾌도난마의 한수이다. 백A면 흑B, 백C면 흑D, 백D면 흑E. 흑은 사통팔달이다. 2도(실패) 흑1, 3, 5는 백2, 4로 반쪽짜리 성공이다. 귀는 백이 손을 빼도 <자충>관계로 백이 빠르다..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7.21
제7형 문제도(흑선) 상변쪽에 잡혀있는 흑돌을 최대한 횔용해보자. 1도(정해) 훅1의 단수가 맥점이다. 계속해서..... 2도(정해 계속) 백2에 흑3으로 잇고 백4면 흑5로 귀의 두점을 잡는다. 수순 중 백4로..... 3도(변화) 백4로 저항을 하면 흑5를 선수하고 7로 이으면 백8로 막아도 9로 젖혀 백이 더 손해..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7.21
제6형 문제도(흑선) 백△이 밀고 나온 모양인데 서로 3수인 상태지만 약점이 있는 흑은 어떻게 수습해야 할까? 1도(정해) A의 끊기는 약점이 있지만 흑1로 이단 젖히는 것이 바른 맥점이다. 계속해서..... 2도(정해 계속) 백2는 당연한 끊음이며 이에 흑3으로 돌려친다. 백4로 따낼 때 다시 흑5로 단..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7.04
제5형 문제도(흑선) 백△ 3점을 잡아 귀의 흑을 부활시키자. 1도(정해) 흑1의 날일자가 공격의 급소. 계속해서..... 2도(정해 계속) 백2면 흑3으로 끼워 7까지 흑승. 흑3을 4에 두면 실패. 3도(변화) 흑1에 백2로 치받으면 3으로 막고 백4로 넘어갈 때 흑5로 먹여치면 결과는 <정해>와 동일해진다. 4..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6.17
제4형 문제도(흑선) 급소를 찾아 <빈축>으로 잡는 문제. 1도(실패) 무작정 흑1로 나와 단수하는 것은 바둑을 지겠다는 뜻이다. 충분히 잡을 수 있는 돌을 손해보면서까지 잡지 못한다면 문제가 있는 것이다. 심사숙고하는 버릇을 기르자. 2도(정해) 그렇다. <쌍립되는 곳이 급소>란 바둑 ..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6.10
제3형 문제도(흑선) 요석인 백△ 두점을 잡아 흑돌을 연결하고 싶다. 1도(실패) 흑1로 단수 쳐서 9까지 좌우를 분단했다 할지라도 흑은 A와 같은 약점 투성이만 남길 뿐 아무런 댓가없이 망한 꼴이다. 2도(정해) 흑1로 붙이는 것이 올바른 맥점이다. 백2에 흑3으로 맞끊는 것 또한 맥점이다. 백A의 ..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5.25
제2형 문제도(흑선) 백의 요석△ 두점을 잡으면 흑은 한번에 대세를 장악할 수 있다. 1도(실패) 흑1, 3은 신중하지 못한 하수의 행마다. 2도(실패) 흑1로 얌전히 느는 것은 바둑을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것이다. 백2로 끊겨 흑의 고전이다. 3도(정해) 흑1의 쌍립자리가 급소. 흑1로써 백의 요석이 잡혀 ..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5.17
石を取る 제1형 문제도(흑선) <몰아떨구기> 기본 문제 1도(실패) 쉬운 <몰아떨구기>라도 수순이 아주 중요하므로 신중하게 둬야 한다. 흑1로 먼저 물어 보는 것은 백2로 이어 6까지 흑이 낭패다. 2도(정해) 흑1로 먼저 먹여쳐야 한다. 백2에 흑3이 절대 수순이며 흑5로 이어 7로 단수치면 <몰아떨구..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