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수25 문제도(백선) <발양론>에 수록된 문제. 다소 까다롭다. 1도(정해) 백1에 흑2, 백3에 흑4는 당연한 응수. 그때 백5로 껴붙이는 양붙임이 정해다. 2도(계속) 백△에 흑1로 단수. 백2로 내려선 것은 흑A하거나 또는 흑4하면 백B를 듣게 해서 왼쪽에서 살려는 것. 따라서 흑3에 잇고 이하 백4, 6. 3.. 기경중묘/사는 수 2018.11.26
넘는 수23 문제도(흑선) 넘어가게 할 것인가, 아니면 살려줄 것인가는 백의 태도 달렸다. 1도(정해) 흑1이 정해. 이렇게 해서 A와 B 중에서 백의 응수를 기다린다. 2도(계속) 흑▲에 백1이면 흑2, 백3, 흑4다. 백5 때 흑6하여 A와 B를 맞보기한다. 또 백5로 C해도 흑D, 백B, 흑A하여 흑은 산다. 3도(변화) 흑▲.. 기경중묘/넘는 수 2018.11.19
넘는 수22 문제도(흑선) 이 문제는 무조건으로는 넘을 수 없어 <패>가 최선이다. 1도(정해) 흑1이 절묘하며 찾기 어려운 급소로 정해이다. 백의 응수는 A 또는 B인데..... 2도(계속) 흑▲에 백1이면 흑2로 잇고 백3 때 흑4로 먹여쳐 흑6까지 <패>가 된다. 백은 자충이 되기 때문에 4의 곳에 잇지 못.. 기경중묘/넘는 수 2018.11.15
수상전24 문제도(백선) 어찌되었건 귀에서 수를 늘려야 한다. 1도(정해) 백1이 정해. 욕심을 부려 A에 두면 귀삼수에 걸려 결과가 나쁘다. <4도> 2도(계속) 백△에는 흑1인데 이 때 백2로 잇는 것이 요착이다. 이렇게 하면 흑A해도 백B, 흑C, 백D여서 백은 4수, 흑은 3수이므로 백이 이긴다. 그러나 흑.. 기경중묘/수상전 2018.11.15
패쓰는 수24 문제도(백선) 아래쪽 백의 반 집을 염두에 두고 생각하자. 1도(정해) 백1이 정해. 이 수 말고는 후수 한 집 밖에 확보하지 못하므로 흑A의 파호를 당해 백은 전멸한다. 2도(계속) 백1에 흑2면 백3의 <패>로 반발한다. 그리고 이 <패>의 성패가 사활에 직결된다. 흑이 <패>를 양보하.. 기경중묘/패쓰는 수 2018.11.14
잡는 수24 문제도(백선) 맥점을 알기만 하면 간단하다. 그렇다고 신중하지 못하면 손해를 보기 쉽상이다. 1도(정해) 백1의 양붙임(껴붙임)이 정해. 흑으로서는 백1을 좌변으로 넘게해서는 끝장이므로 넘지 못하도록 막을 수 밖에 없다. 2도(계속) 백△에 대해 흑1로 내려서는 것은 당연하다. 그때 백2.. 기경중묘/잡는 수 2018.11.13
사는 수24 문제도(백선) 첫수만 발견한다면 간단히 해결된다. 1도(정해) 백1로 젖히는 수가 첫수. 대체로 말을 살리고자 할 때는 수순을 제대로 밟아야 한다. 2도(계속) 백△에 흑1의 이음은 당연하며 백은 2에 두어 완생이다. 3도(완착) 어차피 그리 될 것이라 여겨서 곧장 백1로 두면 어떻게 될까? 실.. 기경중묘/사는 수 2018.11.13
넘는 수21 문제도(흑선) 먼저 중앙으로 나오는 한 수를 두고 시작해야 한다. 1도(정해) 흑1에 백2는 당연. 그 때 흑3으로 붙이는 수가 정해. 왜 흑1, 백2의 교환이 먼저 이뤄져야 하는가는 <3도>에서 설명한다. 2도(계속) 흑▲에 백1이면 흑2. 그 때 백3이면 흑4로 내려 넘는 수를 본다. 이 다음 백A면 .. 기경중묘/넘는 수 2018.11.07
패쓰는 수23 문제도(흑선) 소위 됫박형 사활 문제. 1도(정해) 흑1이 정해. 흑1이면 아직도 흑에게는 맥점이 있으므로 귀가 잡혔다고 속단하는 것은 금물이다. 2도(계속) 흑▲에 대해 백1로 막는 한 수. 흑2로 <패>가 된다. 이 역시 귀의 특수성이라는 탄력을 이용한 것이다. 3도(변화) 흑▲에 백1은 흑2.. 기경중묘/패쓰는 수 2018.11.06
수상전23 문제도(흑선) 귀의 흑 넉 점은 보기보다 수수(手數)가 많다. 1도(정해) 흑1로 내려서는 수가 정해. 반대로 백1의 젖힘수를 당하면 흑은 그대로 잡히지만, 이렇게 흑1로 꼬부려 흑은 여섯 수로 늘어났다. 2도(정해 계속) 흑1에 백은 2인데 이어서 흑3으로 먹여치고 5로 <파호>하는 것이 중요.. 기경중묘/수상전 2018.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