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문 문제도(흑선) 하변이 갑자기 급박해진 모양이다. 다음 한 수가 전국적인 국면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에 공수를 겸한 착점은 어디일까? 정해도 흑1의 두칸 벌림이 안정적이며 백2 또한 필연적 한 수이다. 흑3에서 6까지 쌍방 안정적인 모양을 갖춘 후 선수를 잡은 흑은 7로 좌상귀에 걸쳐 흑.. 포석공부/포석先占 2018.06.28
3문 문제도(흑선) 흑1로 한칸 뛰자 백은 마늘모로 안정정인 행마를 취했으나 중복의 느낌이다. 주위 돌의 배석을 고려한 정확한 흑의 다음 한수를 A~E중에서 고른다면? 정해도 흑1의 날일자(E)가 안정적인 정확한 선택이다. 좌변 돌의 근거를 마련하면서 백2를 두게하여 다시금 중복으로 만든다.. 포석공부/포석先占 2018.06.23
2문 문제도(흑선) 현재 전국적인 국면을 보면 흑은 대체로 견실한 모양이다. 좌하귀에서 백이 날일자로 걸쳐 온 장면인데 이때를 노린 흑의 일석이조의 착점은 A에서 D중 어디일까? 정해도 흑1(B)이 좌하귀 백 한점을 공격하면서 우하와 균형이 잡힌 일석이조의 수이다. 이에 백의 선택은 3.三.. 포석공부/포석先占 2018.06.19
58문 문제도(흑선) 좌상귀 흑의 걸침에 백이 한칸 협공으로 두어왔다. 주변의 돌과 앞으로의 구상을 생각할 때 흑은 어떤 정석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 정해도 여러 형태의 정석 선택이 있을 수 있겠지만, 주위의 돌을 고려헤 볼 때 흑1로 붙여끌어 흑9까지. 이후 좌변 백 석점은 좌하쪽 흑▲에.. 포석공부/포석問答 2018.06.18
1문 문제도(흑선) 국면은 평이해 보이지만 시급한 곳이 있어 보인다. A~D중 어느 곳이 급한 곳일까? 풀이를 보기 전에 각각의 곳을 두어 비교해 보자. 정해도 흑1의 두칸 벌림이 근거를 마련하는 동시에 백 한점을 공격하는 호점이다. 핵심은 흑1이 반상에서 제일 급한 곳이라는 사실이다. 실패.. 포석공부/포석先占 2017.11.01
57문 문제도(흑선) 아직 선점할 곳이 많다. 내가 흑이라면 선택지를 어디에 고를까? 정해도 우하귀의 흑▲ 돌이 튼튼하기 때문에 흑1로 귀의 백쪽에 바짝 다가갈 필요가 있다. 이것은 반대로 백의 대모양을 미연에 방지하는 수이기도 하다. 게다가 A가 쌍방 호점이므로 백2는 요처이며 흑은 3의 .. 포석공부/포석問答 2017.09.20
56문 문제도(흑선) 중국류 포석에서 나온 형국이다. 촛점은 우상귀. 돌 흐름의 연관성을 놓고 볼 때 흑은 이 방면을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을까? 정해도 흑1의 행마가 흑▲과 연관된 좋은 수이다. 이것은 백의 중앙 진출을 차단하는 정확한 선택이다. 돌 흐름과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초반 대.. 포석공부/포석問答 2017.07.03
55문 문제도(흑선) 우변에 집이 편중된 흑은 더 이상 둘 곳이 마땅치 않다. 그렇다면 흑의 다음 선착점은 어디가 좋을까? 정해도 상변 흑1의 갈라침이 정학한 선택이며 양쪽 모두에게 시급한 곳이다. 흑은 좌우로 벌릴 여지가 있어 백은 이 돌을 쉽게 공격할 수 없다. 실패도 하변 흑1의 벌림은 .. 포석공부/포석問答 2016.08.20
54문 문제도(흑선) 全局의 배치를 고려할 때, 다음 흑의 필쟁점은 어디일까? 정해도 흑1의 날일자 씌움이 이 형국의 관건이다. 이하 흑5까지 나아가 백을 봉쇄한 흑의 두터움과 좌변 흑의 배치가 서로 어울려 십분 확대할 수 있는 모양이다. 실패도 흑1은 전장을 이탈한 잘못된 선택이다. 백2의 .. 포석공부/포석問答 2016.06.22
53문 문제도(흑선) 초점은 당연히 하변이다. 흑이 취할 최고의 방안은? 1도(정해) 이 국면이라면 벌림을 겸한 흑1이 좌하 백 석점을 공격하는 의미도 있어 아주 큰 곳이다. 2도(실패) 흑1의 두칸 협공도 물론 좋은 점이지만, 백2의 마늘모에 흑3으로 근거를 마련하면 이후 백4의 벌림이 절호점이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