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문 문제도(흑선) 현재 흑의 선택지는 많아 보인다. 하지만 서둘러야 할 곳이 있는데..... 1도(정해) 지금은 흑1로 철주를 내려 귀를 지키는 것이 최대의 한 수이다. 이는 우상의 모양과 관련한 쌍방간 필쟁점이다. 2도(실패) 좌하귀 흑1의 날일자는 좌변의 백 두점에 대한 압박용으로는 좋지만, ..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12.11
41문 문제도(흑선) 하변은 흑백 모두 기본적인 배치 상태이다. 흑이 좌변에 눈을 돌린다면 어떻게 두는 것이 타당하겠는가? 1도(정해) 흑1의 좌변 갈라침이 좋다. 이 흑1은 위든 아래든 2칸 벌림이 적당한 위치이다. 백이 2로 다가서면 3으로 2칸 벌려 이상적이다. 2도(참고) 백2로 위에서 다가서면..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20
40문 문제도(흑선) 큰 곳과 급한 곳은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때문에 큰 곳보다 급한 곳이 우선이다. 정해도 흑1이 급소며 백2는 필연. 흑3으로 벌린다음 7까지 좌변 흑이 모양을 갖추며 백을 압박한다. 실패도 물론 흑1은 반상 최대의 곳이다. 하지만 백2의 급소 한방으로 좌하귀 흑이 공격당..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39문 문제도(흑선) 좌상귀 흑의 걸침에 백이 한칸 낮게 협공해왔다. 흑은 주위 배석을 고려해 어떤 정석을 택하는 것이 좋을까? 정해도 흑1로 붙여 뻗기 정석을 택한다. 흑9까지 진행되고나서 백 3점이 흑▲에 의해 견제받고 있는 모양인데 흑의 성공이다. 실패도 흑1로 눌러가는 정석은 좋지 않..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38문 문제도(흑선) 현재 반상의 큰 곳이 다소있지만 유일하게 시급한 곳은? 정해도 흑1의 벌림이 한수의 가치가 크다. 다음 흑A 또는 C의 후속 수단이 남아있다. 실패도 상변 흑1도 큰곳이지만 백2로 다가서는 순간 A의 날일자 급소에 좌상귀 흑이 어려워 보인다. 이런 형태는 좌변 백의 모양을 ..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37문 문제도(흑선) 흑의 착안점은 상변인데, 좌상귀 흑 3점의 이용 여하에 따라 흑의 모양이 결정된다. 정해도 흑1로 기민하게 붙여 늘어 7까지 좌상귀 흑3점을 희생하고 모양의 틀을 갖춘다. 반면 오른쪽 흑 모양이 웅대해져 흑 포석의 성공이다. 실패도 단순히 흑1로 한칸 뛰는 수는 <정해도&..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36문 문제도(흑선) 백△으로 걸쳐온 장면이다. 흑의 응수 여하에 따라 정석이 달라질 것이다. 정해도 흑1의 한칸 응수로 11까지 우하귀를 안정시키는 것이 급선무다. 그런 다음 흑13, 15, 17로 우변 실리를 확대한다. 실패도 역시 한줄 차이지만 날일자로 응수하게되면 8까지 예상되는데, 이후 A의 ..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35문 문제도(흑선) 흑이 일거양득의 이득을 볼 수 있는 곳은? 정해도 중앙으로 향한 흑1의 날일자가 멋지다. 흑은 A의 급소와 백B의 뛰어들기를 간접적으로 보강하고 있어 그야말로 일거양득의 호점이다. 흑3까지 좌변 흑 모양이 가관이다. 실패도 흑1로 우변을 큰 곳을 간다면 백2로 어깨를 누..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34문 문제도(흑선) 포석이 거의 끝난 시점이다. 반상 최대는? 정해도 반상 최대는 우하귀 흑1의 철주. 백2에 흑은 3으로 가볍게 전개한다. 실패도 좌상귀의 모양을 정비하느라 흑1로 둔다면 백은 당장 우하귀 3.三으로 뛰어들어 흑이 손해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33문 문제도(흑선) 평이하게 진행된 포석이다. 좌하 방면에 선착의 효과를 얻을 방법은 없을까? 정해도 흑1로 다가서서 백2를 교환한 다음 흑3으로 뛰어 백A의 침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본다. 실패도1 그냥 흑1로 먼저 한칸 뛰면 백2로 하변의 큰 곳을 가버려 흑의 불만이다. 실패도2 흑1로 우변쪽..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