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30 문제도(흑선) 눈에 보이는 수는 흑3수, 백4수의 수상전. 어떻게 하면 귀의 백을 잡을 수 있을까? 1도(정해) 흑1로 먼저 젖히는 것이 수를 늘이는 맥점. 2로 늘 수밖에 없을 때 흑3으로 젖히면 수상전이 역전된다. 1선 양젖힘은 1수가 늘어난다는 것을 알아두자. 2도(변화1) <1도> 수순중 흑1 ..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5.01.11
테스트29 문제도(흑선) 상대를 자충으로 유도하는 수순이 중요하다. 1도(정해) 흑1의 젖힘이 맥점이다. 백2로 막을 수밖에 없을 때 흑2, 5로 공격하면 백5점을 잡을 수 있다. 2도(변화) 흑1 때 백2로 이으면 흑3으로 젖혀 상대를 자충으로 유도하는 수순이 좋다. 이하 흑7까지 상황끝. 3도(실패) 흑1의 끼..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5.01.10
테스트28 문제도(흑선) 단순하게 수를 메워서는 흑이 한 수 부족이다. 수상전을 이기는 흑의 맥은? 1도(정해) 흑1의 단수 후 3으로 늘어 두는 것이 승리로 가는 맥점이다. 2도(정해 계속) 계속해서 백1로 이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백의 고민이다. 이하 흑8까지 흑이 한수 빠르다. 3도(실패) 설마.....?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5.01.10
테스트27 문제도(흑선) 대강 훑어보기 흑1 이하는 잘 아는바 '대사정석'의 한 종류다. 그런데 여기서 정석을 잘 알고 있지 못하면 이 다음에도 의외로 틀릴 수 있다. 일단락까지 수순을 알아보자. 1도 흑1은 실패한다. 이것은 정석의 변화를 익혀두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그림은 실패했다고 ..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5.01.08
테스트26 문제도(흑선) 끝내기 문제. 상대의 약점을 직접 건드리기 보다는 우회해서 동정을 살피는 것이 좋다. 1도(정해) 흑1로 치중해서 백의 응수를 묻는 것이 끝내기 맥점이다. 백2의 후퇴가 불가피할 때 흑3으로 넘어가면 先手 끝내기다. 2도(실패) 흑1, 백2를 결정하는 것은 전혀 득이 되지 않는..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5.01.07
테스트25 문제도(흑선) 집을 만들고 싶은 장소. 백△으로 들어왔다. 이와같은 경우에 응수하는 방법은 어디에 집을 짓고 싶은가, 또는 어디를 공격하고 싶은가를 판단하여 결정하면 된다. 1도 흑1로 막아 흑10까지 진행된다면 우변 흑▲ 두점과 중복된 모양이다. 불만이다. 2도 흑1로 막는 방향은 옳..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5.01.06
테스트24 문제도(흑선) 이것은 호선 포석의 문제다. 흑이 먼저 둘 때 이 한 수 뿐이라는 곳을 알아 두어야 한다. 1도 흑1의 씌움이다. 좌상귀변의 백 모양이 튼튼해 공격하기가 어렵다는 판단을 하는 것이 첫째이다. 흑1의 세력 확대로 인해서 흑▲의 벌림이 훌륭하다는 이유도 있다. 2도 백이 먼저 ..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5.01.05
테스트23 문제도(흑선) 한칸 뛰는 수의 성질. 백△으로 달려 온 곳이다. 이러한 모양이 되면 한칸 뛰어 받은 것이 불안하게 느껴질 것이다. 결과적으로 어떻게 방어해야 할까 하는 것이 문제다. 화점에서 한칸의 모양에 대한 인식도가 의외로 이러한 곳에서 알 수 있게 된다. 1도 흑1은 부분적인 모..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5.01.04
테스트22 문제도(흑선) 어디가 다른가. 걸쳐있는 백을 안정시키는 데는 일반적으로 1을 두지않고 3으로 달리는 수가 많다. 이보다도 더욱 능률적으로 두려는 것이 백1, 3의 콤비네이션이다. 이와 같은 수법의 차이에 관하여 응수하는 쪽도 신경을 써야 한다. 1도 흑1이라면 무난하다. 그러나 이 모양..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5.01.03
테스트21 문제도(흑선) 백1, 3은 눈으로 보아 확실히 허술하지만 어떻게 손을 쓰기에는 난처한 모습이다. 이것에 대해 흑은 어디서부터 추궁하고 늘어질까? 1도(흑, 속수의 연속) 흑1, 3으로 둔 다음 5의 단수는 속수다. 백10까지 보기좋게 함정에 빠진 흑이 안타깝다. 반면 백의 외세는 하늘을 찌른다...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