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10 문제도(흑선) -공격의 요령- 상변 백 두점은 얼른 보기에 구출되기 어려운 모양이다. 흑 차례라면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1도(흑, 성급함) 흑1은 너무 성급하다. 공격의 맥이 끊긴다. 2도 1로 모는 것도 2, 4, 6으로 모양좋게 빠져 나간다. 3도(정해1) 여기서 흑3까지의 모양을 보자. 흑1을 A에 두..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22
테스트9 문제도(흑선) -싸움에 진 개 꼴은 되지 말아라- 지금 귀의 흑이 포위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침착하게 대처해야 한다. 이와같은 경우에 싸움에 진 개처럼 꼬리를 숨겨선 안된다. 1도 흑1로 방어하면 물론 안정은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굴복은 거의 아무런 방법이 없을 경우에 한해서 사용..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21
테스트8 문제도(흑선) -모양과 수읽기- 수를 읽는 다는 것은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다. 모양에 대해서 예민하면 이미 이야기는 전개된 것이다.이 모양을 주의깊게 살펴볼 때 머리 속에 유리한 수순이 번개처럼 떠올라야 한다. 1도 단순히 흑1로 막는 것은 아무런 전략이 없는 수다. 2도(정석) 흑▲..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20
테스트7 문제도(흑선) 잘 아는 붙여뻗기 정석이다. 백이 A를 소홀히 했을 때 흑의 노림은? 1도 가장 좋지 않은 방법이다. 공격해야 될 돌을 간단하게 안심시킨 이적행위이다. 2도(정석) 흑1의 급소에 백의 행마가 곤란해졌다. 백2에 흑3으로 강력하게 젖혀 우형으로 만들고, 그 다음 흑5로 방어한다. ..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9
테스트6 문제도(백선) 흑1, 3의 응수에 함정은 없는가? 1도 백1밖에 도리가 없는 것 같지만 이렇게 되면 2로 넘어 흑의 계산대로다. 2도(정석) 여기에는 백1의 강력한 수가 숨겨져 있다. 흑2일 경우 백3으로 끊어 양분된다. 이하 백7까지 되면 오른쪽 흑 일단이 고립되어 재미가 없다. 3도 흑의 상황에..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8
테스트5 문제도(흑선) 상대를 봉쇄하는 마음 가짐. 백은 X의 묘한 곳에서부터 수를 사용해 모양을 없애는 작전이다. 비록 상변이 당하더라도 선수를 빼앗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1도 큰 모양에만 관심을 두어 귀를 전혀 무시하게 되면 흑1~5 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의 경우 실리적으로 손해..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7
테스트4 문제도(흑선) 외세를 확장하고 싶을 때..... 백1로 붙이는 수법은 흑 모양을 깨려고 할 때 주로 사용되는 전술이다. 이에 대하여 흑이 귀의 실리를 중시할 경우에는 A로 방비하며 지킨다. 반대로 중앙 쪽에 세력을 확장하려면 이번에는 흑2로 밖에서 젖혀둔다. 이때 백3으로 2단 젖힘 작전에 ..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6
테스트3 문제도(백선) -큰 곳의 조건- 호선의 포석, 3선과 4선의 바둑돌, 각각의 성질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면 급소를 이해할 수 있다. 1도 보다 넓은 빈 곳에 세력을 확대하는 것이 일반적인 포석의 원리다. 다만 그것은 주위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된다. 백1이 대단히 좋은 착수이지만 한가지 마..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5
테스트2 문제도(흑선) (모양보다는 정신이 중요하다) 백1은 상수들이 즐겨쓰는 일종의 유혹작전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응수하는 방법을 한 가지 모양으로써 알아 두는 것 보다는 그 전에 올바른 마음 가짐을 가져야 한다. 생각을 깊이 하고 있으면 그 방법으로도 수순이 정연하여 응용할 수 있을 ..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4
테스트1 문제도(흑선) 접바둑에서 백이 만약 X로 걸쳐 왔을 경우 흑은 어떻게 응수해야 할까? 접바둑의 포석에서는 약간의 의문수는 치명상이 되지 않지만 계속 이러한 것들이 쌓이게되면 어느 정도 되어서는 바둑이 망해버렸다는 염려를 하게 된다. 1도 일반적으로 화점에서 응수하는 방법은 흑1..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