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20 문제도(흑선) 백이 △로 먹여쳐 왔다. 흑의 응수는? 1도 덜컥수. 바둑을 두면서 한번씩은 경험하는 덜컥수. 손따라 낼름 두는 수. 아무 생각없는 수. 이런 타이밍이 가끔은 판단을 흐리게 만든다. 상대방이 가끔 먹여쳐 왔을 때 자기도 모르게 흑1로 따내기 쉽상이다. 바둑은 한수 한수 신중..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5.01.01
테스트19 문제도(흑선) 출제 빈도가 높은 문제다. 힌트는 흑▲ 한점. 1도 흑1로 따는 것은 백2로 젖히는 것만으로도 잡힌다. 2도 흑1로 <궁도>를 넓히는 것은 백2의 치중과 백4로 역시 잡힌다. 3도(정해) 흑1이 급소이다. 백2로 두면 흑3으로 막아 흑▲ 한점 때문에 백이 A에 잇지 못한다.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31
테스트18 문제도(백선) 맹점이 있다 백 선수로 흑을 잡는 문제. 맹점을 가졌지만 실전에서는 그냥 지나쳐 버리기 쉽다. 그냥 기억해 두는 것이 현명하다. 1도 이런 모양의 급소는 가운데의 위가 아니면 아래 두군데 중 한곳이다. 그림의 경우는 백의 실패다. 2도(정해) 백1이 정해다. 흑2일 경우 3으로..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30
테스트17 문제도(백선) 자주 쓰이는 끝내기의 수단. 백△를 활용한 귀의 끝내기를 살펴보자. 다른 큰 끝내기가 없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백은 후수를 두어도 좋다는 조건이다. 1도 먼저 가볍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백1에서의 단수일 것이다. 만약 흑2의 빵때림이라면 백3에서 다시 모든 수가 남..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29
테스트16 문제도(백선) 백전 노장은 쉽게 알 수 있다. 정석도 아닌 모양이지만 백의 강력한 수단을 찾아보자. 1도 어찌되었든 흑의 단점을 노리지 않으면 안 된다. 백1, 3으로 다음 A와 B의 노림이 하나의 방법이겠지만 이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다음..... 2도 흑1, 3으로 한꺼번에 단점을 보완할 수 있..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28
테스트15 문제도(흑선) 너무 빨리 단념하지 말라. 백△에 젖혀 둔 모양이다. 약간의 피해는 어쩔 수 없다고 단념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천천히 결말을 살펴본 다음에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 1도 흑1로 막은 다음 3으로 연결하면 백6까지 귀의 흑이 잡힌다. 2도 흑1로 단수하고 3으로 호구치면 귀를 살..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27
테스트14 문제도(흑선) 이것은 고목 정석의 도중이다. 그러나 주의를 주기 위하여 덧붙인다면 다음의 흑 한 수로 귀를 살릴 수 있도록 해야한다. 문제는 그 사는 방법에 있다. 1도 흑1이 가장 안전한 방법임이 틀림없다. 더 욕심을 부려서 사는 방법은 없을까? 2도 흑1이 올바르다. 백A에는 흑B, 백C, ..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26
테스트13 문제도(백선) -필연성을 알라- 약간 생각을 필요로 하는 정석이다. 그래도 이것이 실전에 많이 쓰이기 때문에 수순을 완전하게 알아 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수순을 단순히 외우는 것으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무엇보다도 그 필연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석을 진행시켜 보자. 1..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25
테스트12 문제도(백선) -맞보기의 훌륭한 응수- 정석에 관한 문제. 백4일 경우 흑은 A 또는 B로 귀를 정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왼쪽의 배석(위치) 여부에 따라 흑5도 가능하다. 5는 다음에 백에서부터 벌리고 싶어하기 때문에 분명 좋은 점이다. 그런데 이와같이 좋은 점을 빼앗긴 이상 백도 단..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24
테스트11 문제도(흑선) 백 4까지는 정석의 진행이다. 그 다음 흑 5의 들여다 보는 수는 확실히 정석에 있는 수이지만 백은 <축>이 유리하다고 생각하여 A로 잇지 않고 반발하였다. 이때 흑의 응수는? 1도(흑의 단순한 생각) 계속 연결시켜 나가려고 둔 것이 흑1이다. 단순한 생각으로 기회를 잡으..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