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을 잡는 법3 문제도(백선) 백1로 꼬부리자 흑2로 달린 장면. 이 모양에선 흑▲ 한점이 절대 요석이다. 이것을 잡는다면 백은 승기를 가져올 수 있다. 1도(몰고 걸치기) '돌을 잡는 법1'에서 「몰고 걸치기」에 대해서 설명한 바 있다. 마찬가지로 백1로 몰고 흑2로 나갈 때 백3으로 걸친다. 소위 <축>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3
돌을 잡는 법2 문제도(흑선) 흑1의 젖힘에 백2로 걸쳤다. 실전에 자주 나오는 형인데 이때의 백2는 수읽기를 제대로 하지 않은 대 악수이다. 단숨에 이 허점을 포획하여 잡아보자. 1도(쌍립의 급소) 쌍립되는 흑1의 곳이 급소. 이로써 쐐기에 걸려서 백 석점은 살길이 없다. 2도(한 수 느린 축) 백1로 이어도..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3
돌을 잡는 법1 문제도(흑선) 끊고 있는 백을 잡고 싶다. 제1착은 흑A로 모는 것 이외에는 없지만, 단순히 <축>은 성립되지 않는다. 일단 흑A 단수, 백이 뻗은 다음 어떻게 할 것인가? 1도(몰고 걸친다) 흑1로 단수몰고 3으로 걸친다.「몰고 걸치는」수법은 돌을 잡는데 대단히 효과적이다. <축>과 장..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3
다음 한수 21 문제도(흑선) 백의 날일자 굳힘 속에서 수단을 부리려고 한다. 주변 흑의 응원군이 많은 만큼 쉬워 보이는데, 어떤 수단이 가장 좋을까? 1도(붙이는 맥) 흑1의 붙임이 백 모양의 맥이다. 2도(1도 계속) 백이 1로 막으면 흑2 이하 14까지 귀를 차지하고 살 수 있으며 더구나 백은 아직 미생이다...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1.02
다음 한수 20 문제도(흑선) 백1은 A의 마늘모가 정수인데, 백1로 날일자해 온 장면이다. 백의 무리를 응징하는 수단은? 단, 수순에 유의. 1도(건너 붙이는 맥) 흑1로 건너 붙이는 맥이 이 경우에 알맞은 맥이다. 백2로 한점을 잡는다면 흑3으로 찌르는 것이 수순이다. A와 B가 맞보기다. 2도(실패) 흑1로 찔러..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1.01
제8형 문제도(흑선) 귀의 흑 넉점의 생사여부는 어찌될까? 만일 흑이 살게된다면 우변 백은 자동으로 잡힌다. 1도(실패) 흑1의 들여다보기는 근처 백을 공격하기 위한 수단이지만 이 국면에서는 어울리지 않는다. 2도(실패 계속) 백2로 잇고 흑3으로 빗대지만 백6으로 이어 봉쇄마저 되지 않으며 ..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5.01.01
제7형 문제도(흑선) 흑▲ 다음 A까지 늘 순 없다. 흑의 타개책은? 1도(정해) 흑1로 젖히고 3으로 끊는 수가 맥이다. 7까지 흑이 성공이다. 2도(변화) <1도>의 백6으로 백1로 절단한 변화이다. 이 <패>는 백이 부담이 크다. 3도(변화) 흑1의 끊음에 백2의 반발도 당연해 보인다. 흑7까지 일단락되..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4.12.31
제6형 문제도(흑선) 백의 좌우 연결을 막아라. 1도(실패) 단순히 흑1로 두는 것은 초급자의 수이며 대악수다. 2도(실패) 흑1로 두면 백2로 두어 넘어가는 것과 A로 빠져 나가는 것이 맞보기다. 3도(정해) 흑1의 단수가 넘어가는 것을 막는 맥이다. 이하 7까지 상변 쪽 백 두점을 차단하여 잡을 수 있.. 맥(手筋)공부/基本手筋事典 2014.12.31
다음 한수 19 문제도(흑선) 흑1로 붙이자, 백2를 선수하고 4로 젖혀온 장면이다. 상대방의 주문에 반발해 주도권을 쥐고 싶은데, 어떻게 두는 것이 적절할까? 1도(붙이는 맥) 백1로 붙이는 것이 백의 근거를 뺏는 맥점이다. 2로 연결하면 흑3을 선수하고 5로 막는 것이 좋다. 백이 무겁다. 2도(실패) 단순하..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4.12.31
다음 한수 18 문제도(흑선) 백1로 끊어 수습을 모색해 왔다. 흑은 백에게 근거를 주지않고 중앙으로 내쫓아 공격하고 싶다. 어떤 맥점을 구사해야 할까? 1도(모는 맥) 흑1, 3으로 모는 것이 적절한 행마다. 백4로 끊기를 기다려 흑5로 단수치면 백은 한 <눈>도 없이 중앙으로 도망쳐야 한다. 2도(실패) ..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4.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