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문 문제도(흑선) 좌하귀의 백이 너무 두텁다. 어느 정도까지 상쇄시켜야 할까? 정해도 좌하귀의 두터움은 흑1 정도가 적당하다. 백A는 그리 크지 않아 우변으로 발길을 돌린 모양. 6까지 서로 호각 상태다. 실패도 흑1은 방향착오다. 백2, 4로 좌하귀의 두터움을 활용한 훌륭한 모양이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11문 문제도(흑선) 우상변 백 2점 때문에 우변 흑 한점이 약간 위험하다. 정해도 흑1로 벌린 다음 백2로 귀를 보강할 때 3의 날일자 행마가 적절하다. 실패도 흑1은 뭔가 어정쩡해 보인다. 백2로 우변 흑 한점이 공격당하다보면 상변과 우하변 흑이 약해질 수 있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10문 문제도(흑선) 좌하귀의 백이 약간 두터운 모양이다. 그렇다면 흑은 어디서 부터 전단을 마련해야 할까? 정해도 상변쪽 백이 커질 것에 대비하여 흑1로 상변 화점에 벌리고 백2로 다가서면 흑3, 5로 처리한 다음 우변의 흑7로 벌려 입체감을 키운다. 실패도 흑1로 먼저 벌리는 것은 방향착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9문 문제도(흑선) 흑의 선착이라면 대세점은 어딜까? 정해도 흑1이 대세점이다. 흑1~5까지 처리하고, 상변 백6의 갈라침에 흑은 3.三으로 침투하여 15까지 흑의 우세 확립. 실패도 역시 2의 자리가 대세점이다. 백2가 놓이고 보니 그럴싸하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8문 문제도(흑선) 반상 큰곳? 정해도 흑1에서 7까지 모양의 틀을 갖춘다. 실패도 흑1의 상변은 큰 곳이지만 방향이 틀리다. 백2, 4로 흑의 전체적인 모양이 엷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7문 문제도 (흑선) 우변에 갈라친 백에 대한 흑의 운용은? 정해도 흑1로 다가선 후 우하귀를 간단히 정리하고 5의 큰 곳으로 간다. 실패도 흑1은 방향착오. 또한 백A의 3.三 침입도 남아있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6문 문제도(흑선) 백△로 갈라쳐 온 장면이다. 흑의 대응은? 정해도 흑1로 다가서서 백2 때 마늘모로 붙여 백을 불편하게 만든다. 실패도 흑1쪽으로 다가서는 수는 백에게 별 영향을 주지 않을 뿐더러 우상귀에 굳혀진 흑에게 영향을 미쳐 좋지 않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5문 문제도(흑선) 요점은 우변에 있다. 흑의 선택에 따라 초반 흐름을 바꿀수도 있다. 정해도 흑1로 다가서면 백2로 한칸 뛰고 그에 따라 흑3으로 하변을 공고히 한다. 실패도 좌하변 백의 침입이 두려워 흑1로 지키는 것도 좋지만 백2로 벌려 우변이 강해지면 상대적으로 우상귀가 약해질 염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4문 문제도(흑선) 큰 곳은? 정해도 흑1의 곳이 크고 급하다. 백2에 흑3이 하변과 조화를 이룬다. 실패도 흑1은 안이한 착점이다. 역시 2가 요점이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3문 문제도(흑선) 흑이 급한 곳이 눈에 띈다. 정해도 흑1이 시급하며 백2에 자연스럽게 3으로 나간다. 실패도 흑1은 급하지 않다. 좌상귀의 흑 일단이 급한데 백2로 턱밑의 급소에 바짝 다가서자 흑은 도망가기 바쁘다. 백은 편안하게 앉아 공격의 득을 챙긴다. 포석에서는 큰 곳보다 급한 곳이 ..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