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문 문제도(흑선) 우상귀 두터움을 이용한 큰곳은? 정해도 흑1, 3이 올바른 방향이다. 우상귀의 두터움과 조화를 이룬다. 실패도 우하귀 쪽으로 걸쳐 우변을 전개하면 A의 뒷문이 열려 있어 방향착오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1문 문제도(흑선) 큰곳을 선점하라. 정해도 5까지 흑의 흐름이 상당히 좋다. 실패도 만일 흑1이라면 백2로 두어 흑은 우변 공격에 대한 메리트를 잃어버리게 된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布石의 基本 9 최선의 벌림 1도(다음 好手를 내다본다) 백1로 우상의 백의 근거로부터 벌렸다. 벌림으로선 좋은 점이다. 흑2로 다가왔을 때는 백3으로 뛰는 수가 좋은 곳이다. 흑2를 손빼면 백으로부터 A 또는 B가 좋은 점이 된다. 백의 불만 2도(벌림이 좁다) 백1의 벌림은 좁다. 흑2로 벌리고 백3으로 뛰어.. 포석공부/포석의要領 2014.12.31
布石의 基本 8 벌림의 기본 1도(안정한다) 상변의 백 한점에서 1로 두칸 벌렸다. 이 두칸은 기본형이다. 흑2로 다가섰을 때 백3으로 강화하여 두는 것이 견실한 수법이다. 좁은 벌림 2도(한칸은 좁다) 백1의 한칸은 좁아서 불리하다. 이 때엔 흑2의 벌림이 절호점이 된다. 그러나 백1로써 2의 세칸 벌림은 흑.. 포석공부/포석의要領 2014.12.30
布石의 基本 7 세력엔 가까이 가지 않는다 1도(견실) 흑1로 일자로 벌렸습니다. 좌상귀 쪽에 백 세력이 있는 경우이므로 너무 접근하지 않는 것이 바둑의 이치다. 백2로 지켰을 땐 흑3으로 귀를 지켜 불만이 없다. 접근하면 위험 2도(침입이 매섭다) 흑1로 넓게 벌리는 것은 백2에 침입한 다음 4에 끼워넣는.. 포석공부/포석의要領 2014.12.28
布石의 基本 6 균형을 잡는다 1도(온건한 호수) 이와같은 포석에서 상변 1로 벌리는 것이 절호점이다. 백의 다음 목표는 우상귀의 A의 3.三침입과 백B로 모양을 넓히는 두곳을 맞보고 있다. 견실하나... 2도(흑의 삭감이 좋아) 백1로 달리고 나서 4까지 평범한 정석 후에 흑4로 지우는 수가 좋은 수다. 벌림.. 포석공부/포석의要領 2014.12.27
布石의 基本 5 벌림의 기본 1도(상식적인 벌림) 상변과 같은 포석에서는 백1로 두칸 벌려 두는 것이 기본 벌림이다. 이것은 당장 흑으로부터 2가 벌림겸 협공에 절호점이 되지만, 상변은 흑의 세력권이기 때문에 부득이한 곳이다. 침입을 남긴다 2도(세칸벌림은 나쁨) 백1로 한줄 더 넓게 벌리는 것은 흑2.. 포석공부/포석의要領 2014.12.27
布石의 基本 4 균형이 기본 1도(상변이 좋은 모양) 흑이 상변을 지키려면 흑1이 균형을 살핀 좋은 점이다. 그리고 다음에 흑이 A로 뛰게 되면 이 상변의 모양은 완벽하게 된다. 다음 수가 곤란 2도(높이 두면) 흑1로 화점에 두면 다음에 알맞은 수가 없을 뿐 아니라, 백으로부터 A, B에 침입할 결함을 남기고.. 포석공부/포석의要領 2014.12.25
布石의 基本 3 협공의 기본 1도 접바둑에 흔히 나타나는 모양이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흑1로 백△ 한점을 협공하면서 두는 것이 좋으며, A로 깊이 두기보다 흑1로 높이 두는 것이 좋다. 공격당함 2도(흑, 괴롭다) 흑1로 깊이 뛰어드는 것은 백2로 일자로 뛰고나서 4로 두어 침입한 돌이 공격당하고 만다. 공.. 포석공부/포석의要領 2014.12.25
布石의 基本 2 갈라치는 수의 기본 흑의 좋은 모양 1도(맞보는 수) 2도(갈라쳐두지 않으면) 1도(맞보는 수) 우변에서 백1로 화점 밑에 둔 것이 갈라치는 수다. 이것은 A, B 양쪽으로 두칸벌림을 맞보는 수다. 이와같이 갈라치기는 양쪽으로의 벌림이 가능하다는 것이 원칙이다. 2도(갈라쳐두지 않으면) 백1.. 포석공부/포석의要領 201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