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반전24 문제도(흑선) 백△으로 이은 장면. 흑 두점은 거의 잡힌 모양이지만 이를 잘 활용하면 큰 이득을 볼 듯하다. 정해도 먼저 흑1로 나간다. 백은 바로 막을 수 없어 2로 늦추어 받으면 흑3과 5로 틀어 막는다. 흑A, B등이 선수이기 때문에 흑의 성공이다. 실패도 흑1은 속수. 백2로 내려서면 우중..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3
중반전23 문제도(흑선) 백△이 날일자하자 우하귀의 흑 일단이 졸지에 위험해졌다. 어떻게 타개해야 할까? 정해도 흑1이 호수(好手). 백2로 보강하면 흑5까지 모양의 틀을 갖춘다. 우변 백2 쪽이 엷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하변쪽 백△ 3점이 고립된 모습이다. 실패도 흑1로 백 2점을 취하는 것은 소탐..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3
중반전22 문제도(흑선) 우상귀 흑의 눈목자 굳힘에 백△의 3.三 침입은 상용 수단이다. 흑은 어떻게 응수해야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을까? 정해도 먼저 흑1쪽으로 막아 5까지 선수로 우상귀를 두텁게 만든 후, 흑7의 마늘모 붙임으로 8과 교환한다. 그리고 두터움을 이용한 9의 협공으로 집도 확보하..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3
중반전21 문제도(흑선) 좌하귀의 <축> 때문에 백△으로 축머리 활용을 한 장면이다. 전체적인 국면 상 흑은 어떻게 응수하면 좋을까? 정해도 먼저 흑1로 <축>을 해소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백은 2로 우상귀를 갈라놓을 것이다. 이때 흑3으로 하변쪽의 약한 백을 공격하면서 우변을 크게 확..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3
중반전20 문제도 흑▲과 백△의 교환 후 흑▲의 선착의 효를 유지시키 위해서는 어떤식의 행마가 좋을까? 정해도 흑1의 마늘모 붙임이 좌변 흑 침입수에 상응하는 행마이며 또한 좌하귀의 백의 침입도 일정부분 저지한 모습이며, 5까지 흑이 충분히 싸울 수 있는 모습이다. 실패도 흑1로 한칸 뛰는 ..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3
중반전19 문제도(흑선) 백△이 3.三 으로 들어왔다. 흑의 배석을 잘 생각하여 어느쪽으로 막아야 할까? 정해도 우변 흑▲ 두점을 생각한다면 흑1로 막는 것이 타당하다. 11까지 흑모양이 조화롭다. 실패도 흑1은 방향착오다. 우변 흑▲의 효율이 낮을 뿐 아니라 상변도 A쪽이 열려있어 정해도와 큰 차..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3
중반전18 문제도(흑선) 상변 화점의 흑 한점이 초점이다. 흑의 처리 방법은? 정해도 흑1로 다가서 백을 은근히 압박한다. 백2의 마늘모로 빠져 나갈 때 흑3으로 백의 좌우를 분단한다. 실패도 흑1로 중앙 한칸 뜀은 백2로 저공비행하여 연결을 취하는 모습이다.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2
중반전17 문제도(흑선) 2점 접바둑이다. 좌하 백△ 한점을 어떻게 공격하면 선착의 효과를 얻을까? 정해도 이런 모양에서는 흑1의 마늘모 붙임이 상용 수단이다. 흑3과 백4를 교환한 다음 흑5로 한칸 뛰면 전체적으로 백이 엷어보여 흑이 좋다. 실패도 흑1이 나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백△에 대한 영..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2
중반전16 문제도(흑선) 3점 접바둑이다. 흑▲과 백△의 교환은 실리로 손해다. 그럼 흑은 어떻게 하면 손해 본 만큼의 이익을 취할 수 있을까? 정해도 흑1로 상변 백 한점을 확실하게 공격한다. 7까지라면 흑은 백 한점을 제압하고 외세가 상당히 두터워진 모습이다. 실패도 흑1로 모자를 함부로 씌..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2
중반전15 문제도(흑선) 접바둑에서 생긴 모양이다. 우상귀 쪽에 백△이 날일자로 날아든 장면. 흑은 이 챤스를 이용해 상수를 한번 혼내주고 싶다. 정해도 우상귀 쪽의 백△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 흑1이 무리수를 응징하는 갈라침으로 5까지 우변 백△ 한점이 자연스럽게 고립되어 흑이 충분하다. ..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