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반전14 문제도(흑선) 좌하변 흑을 백△이 날일자로 공격해 온 장면이다. 흑의 응접은? 정해도 결론부터 말하면 바꿔치기다. 흑1로 붙인 다음 3으로 밑붙여 백의 응수 타진을 물어본다. 백4로 막으면 5로 맞끊어 흑11까지 좌우 바꿔치기가 이루어져 우측 백△ 한점을 크게 위협하게 되었다. 실패도 ..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2
중반전13 문제도(흑선) 흑은 실리가 부족하지만 외세가 좋다. 대세를 결정지을 흑의 다음 한수는? 정해도 흑1의 대목자가 중앙집을 키우는 한 수이다. 백은 웅장함을 삭감하기 위해 백2로 모자를 씌워왔다. 흑은 3, 5로 차단하여 두터움을 배경으로 본격적으로 싸우게 된다. 실패도 한칸의 차이가 가..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2
중반전12 문제도(흑선) <축>이 안되는 까닭에 백△이 호구 이음을 한 장면이다. <패>가 불리한 흑의 대처는? 정해도 흑1의 성동격서 작전이 필요하다. 만일 백2로 받는다면 흑3으로 <축>을 몰아 9까지 A, B 맞보기가 되어 흑의 성공이다. 물론 고급 수법이다.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2
중반전11 문제도(흑선) 현재의 국면은 상변에서 흑과 백 모양이 대치된 상황이다. 흑은 어떤식으로 진행시키는 것이 좋을까? 정해도 흑1의 어깨짚는 감각이 좋다. 백2에 흑3으로 젖히고 5로 내려서는 수가 호수이며 백6의 젖힘에 흑7로 두텁게 잇는다. 백8의 호구 이음에 흑9의 선수 후 15까지의 진행..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2
중반전10 문제도(흑선) 상변 백 두점을 배경으로 백△으로 붙여 온 장면이다. 우상귀 흑이 두터워 백이 견제한 것이다. 흑의 입장에서 이 두터움을 이용한 백의 붙임을 응징할 수 있는 수단은? 정해도 흑은 두터움을 배경으로 흑1로 강력하게 반발한다. 백도 기세상 2로 끊어 쌍방 힘겨루기를 하지..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2
중반전9 문제도(흑선) 우하귀 백이 눈목자 굳힘과 3칸 벌림으로 배치된 장면이다. 그런데 우상귀의 정석 모양에서 흑의 두터움이 아래쪽 백 진영으로 향해 있다. 흑은 이 두터움을 배경으로 우변과 우하귀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정해도 흑1로 침입하여 백의 응수를 타진한다. 백2의 마늘..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2
중반전8 문제도(흑선) 좌하귀는 복잡한 큰눈사태 정석이 완료된 모양이다. 흑이 선수를 취해 이득을 취할 수 있는 방법은? 정해도 흑1로 밀어 6까지 처리한 후 좌변 흑7로 다가서서 백 넉점을 괴롭힌다. 공방의 요처에서 흑의 선수로 성공이다. 실패도 흑1은 평범한 정석 진행으로 백은 2로 벌려 안정을 취하고 흑3으로 모양을 갖추는 동안 백4로 중앙으로 크게 달아나고 흑5로 하변을 지키면, 좌상귀 흑▲ 한점이 불편해 보여 전체적으로 흑이 좋지 않다.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2
중반전7 문제도(흑선) 좌하귀는 소목 날일자 걸침에 2칸 높은 협공 정석에서 일어난 모양이다. 백△이 우하변 흑이 굳어지기 전 삶의 근거를 마련코자 한칸 벌린 장면이다. 흑이 절대적으로 우세한 세력권에서의 싸움이지만 어떤식으로 처리해야 할까? 정해도 흑1로 다가서서 백 두점을 추급한 후 3의 장문으로 백 두점을 포획한다. 계속해서 백 석점은 곤마로 쫒기게 된다. 실패도 반대로 흑1로 먼저 백 두점을 잡으면 백은 2로 두칸 벌려 더욱 안정하게되어 흑은 승기를 놓치게 된다.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2
중반전6 문제도(흑선) 우변에서 백△이 한발 빠르게 날일자로 흑 한점을 공격한 장면이다. 흑은 이 상황을 어떻게 수습해야 할까? 정해도 우변 흑 한점을 움직이기 보다는 상변 백 한점을 제압함과 동시에 흑3으로 벌려 좌상변 백의 두터움을 견제, 확장하는 것이 좋다. 실패도 흑1, 3으로 나가는 것은 그리 좋은 방법이 아니다. 백은 2, 4로 견고해질 뿐 아니라, 상변 A의 큰 곳이 남아 있어 흑이 썩 좋지 않다.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2
중반전5 문제도(흑선) 좌상귀는 작은 눈사태 정석 후의 결과이며 쌍방 두터운 모양인 가운데 백△이 흑의 두터움을 견제하기 위해 상변에 벌린 장면이다. 흑은 전투를 유리하게 전개할 수 있는 기회다. 어떻게 처리를 해야 할까? 정해도 흑1로 상변의 백 사이를 갈라쳐 들어간다. 백2, 4를 강요한 다음 흑5로 우상귀 3.三 백 한점을 압박한다. 흑의 우세국면이다. 실패도1 갈라치더라도 흑1처럼 갈라치는 것은 백2 다음 흑3으로 근거를 마련할 때 백은 4로 한발 먼저 중앙으로 나가 오히려 상변의 흑 두점이 갖힌 꼴이 되었다. 실패도2 그렇다고 흑1로 걸치는 것은 백2의 날일자 응수로 상변 백을 안정시켜 주게되어 흑의 실패다. 종합문제/초,중반攻防 2015.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