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임수를 유인하는 흑 한칸 붙임수를 유인하는 흑 한칸 문제도 흑1로 낮게 한칸 벌리는 것도 자그마한 노림수이다. 보통은 백2, 흑6, 백3, 흑A, 백B로 되는 것인데, 여기서는 흑3으로 젖혀나가 이하 7까지 되었다. 젖혀나가서 단수하면 여기까지는 외길이라 해도 좋다. 흑5일 때에 백C로 단수, 흑6으로 <빵따냄> 당하..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08.01
의표를 찔러서 끊다 의표를 찔러서 끊다 문제도 흑1, 3은 정석으로 이 다음 백5, 흑4, 백A로 바깥쪽을 끊어 흑은 실리, 백은 외세라는 것이 오랜동안 모양으로 간주되었다. 그런데 백에게는 이처럼 4, 6으로 적의 의표를 찔러서 절단시키는 수단이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은 알지 못하는 수에 직면하면 당황..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07.20
걸쳐온 한점 걸쳐온 한점 문제도(백선) 익숙하지 못한 착수를 당하면 거기에는 함정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한번 의심해 보아야 한다. 흑1, 백2의 교환까지는 항상 이루어지는 부분인데 여기서 흑3으로 압박한 것은 그 의도를 한번 의심해 보지 않으면 안될 한수이다. 이 흑의 노림수는 무엇인가, 그..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07.16
정석이 싫으면 정석이 싫으면 문제도 흑1로 바깥쪽에 붙여서 3으로 뻗고, 백4에는 흑5로 두는 것도 정석이다. 여기서 백A로 호구 벌리는 것은 하나의 정석이지만 그 정석이 손해이므로 싫어하는 사람이 많다. 한번 살펴볼만한 의견이라 여기서 백은 어떻게 둘 것인가를 생각해보자. [힌트] 백A로 호구 벌..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07.12
기타니류의 내려섬 기타니류의 내려섬 문제도 기타니 9단이 처음으로 둔, 참으로 땅에 박하고 상대방을 난처하게 만드는 수이다. 보통 3으로는 A에 끌지만, 이 3은 이렇게 내려서서 다음에 백B라면 흑C로 다시 확대하려는 것이다. 이 흑3에 대해서 백은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까? [힌트] 프로기사의 실전에서는..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06.03
몸 전체의 부딪침. 기타니류의 한 수 몸 전체의 부딪침. 기타니류의 한 수 문제도 한칸 높은 걸침의 백에게 흑이 이처럼 1에 착수하여 몸 전체로 부딪치는 <기타니>류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백이 어떻게 응수하면 좋을 것인가라는 것이 문제이다. 돌과 돌이 직접 부팆치고 있으므로 무엇보다도 격렬하다고 하겠는데 ..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03.12
뒤통수에 가하는 일격 뒤통수에 가하는 일격 문제도 흑2로 백1의 뒤통수에 일격을 가했을 때 이것에 대해서 백은 어떻게 응수하면 좋을 것인가? [힌트] 현재는 2대 1로 흑이 우세하지만, 백이 한수를 더 둔다면 2대 2가 되는 것이므로 조금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백으로서는 흑을 두개로 분단시켜 공격해야만 ..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03.03
힘에 자신하는 속임수 힘에 자신하는 속임수 문제도 이 문제처럼 흑이 10으로 3. 三을 막아버리는 것은 본맥(本脈)이 아닌 강경한 수로 세칸 협공한 돌을 활용하려는 것이다. 10으로는 보통 A로 단수, 백B, 흑 패따냄, 백10, 흑 패이음, 백C로 되는 것(참고도)은 처음에 세칸으로 협공한 돌(참고도의 흑▲)이 활동적..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02.25
세칸에는 세칸이라면? 세칸에는 세칸이라면? 문제도(흑선) 한칸 협공에는 한칸뛰기, 두칸 협공에는 두칸으로 뛰라는 사고방식에서 말한다면 세칸 협공에는 세칸뛰기라는 식으로 착수해도 잘못된 것이 아닐런지도 모른다. 吳淸源과 橋本宇太郞(백)의 대국에서 이 형이 두어졌다. 흑을 쥔 吳淸源9단은 여기서 어..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02.19
강인한 차단 작전2 강인한 차단 작전2 문제도(백선) 흑1로 세칸 협공했을 때이다. 흑3, 5에서 7의 차단은 두칸 협공일 때에도 있긴 있는 것이지만 이 세칸일 때가 가장 어렵고 백은 올바른 착수에 고심하지 않을 수 없다. 다시 말해서 흑1이 A에 있으면 백도 B로 단수하고 흑C, 백D, 흑E, 백F의 모양이 좋은 것인데..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2016.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