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붙임수를 유인하는 흑 한칸
문제도
흑1로 낮게 한칸 벌리는 것도 자그마한 노림수이다.
보통은 백2, 흑6, 백3, 흑A, 백B로 되는 것인데, 여기서는 흑3으로 젖혀나가 이하 7까지 되었다. 젖혀나가서 단수하면 여기까지는 외길이라 해도 좋다.
흑5일 때에 백C로 단수, 흑6으로 <빵따냄> 당하는 것은 백도 뒤에 참을 수 없으므로 우선은 이렇게 될 곳이다. 그렇다면 백은 여기서 어떻게 응하는 것이 좋을까?
[힌트] 귀의 백 두점은 살고 있기는 하다. 이 백 두점을 버리고 말 것인가? 아니면 살리고서 둘 것인가의 기본방침을 먼저 정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1도(정해)
백은 귀의 두점을 깨끗이 버려서 단념하고 이처럼 백5로 전개해서 충분하다. 이 백이 만족할 수 있다는 것은 다음 <4도>의 정석과 비교해 보면 명백해진다.
2도(흑의 주문)
흑의 주문은 백에게 <귀살이>를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다. 백1, 3으로 되면 흑은 4, 6으로 뻗어나가서 백의 불완전한 삶을 노리게 되는 것이다.
3도(백 전멸)
백이 잘못 읽어 손을 빼어버리면 흑은 시기를 보아 흑1로 내려선다. 백2 때 흑3으로 젖혀서 잡아버리므로 백은 수순 중 어느 과정에서 A의 젖힘수를 두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4도(비교)
상용의 정석이지만 이것보다도 <1도>의 편이 A의 뛰어들기를 당하는 불안이 없는만큼 우수한 것이다.
'정석공부 > 정석 전략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대쪽에서 단수하는 방법 (0) | 2016.08.23 |
---|---|
高川格이 시험한 변화 (0) | 2016.08.14 |
의표를 찔러서 끊다 (0) | 2016.07.20 |
걸쳐온 한점 (0) | 2016.07.16 |
정석이 싫으면 (0) | 2016.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