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의표를 찔러서 끊다
문제도
흑1, 3은 정석으로 이 다음 백5, 흑4, 백A로 바깥쪽을 끊어 흑은 실리, 백은 외세라는 것이 오랜동안 모양으로 간주되었다.
그런데 백에게는 이처럼 4, 6으로 적의 의표를 찔러서 절단시키는 수단이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은 알지 못하는 수에 직면하면 당황해서 그대로 상대방의 주문대로 빠져드는 수가 많다. 내가 흑의 입장이라면 어떻게 응수할 것인가?
[힌트] 흑이나 백이나 서로가 공배메움이므로 맞공격이 되어서도 서로가 아슬아슬하게 된다는 점은 첫눈에 보아도 명백하다.
흑1, 3의 두점은 요석이므로 이것이 아무런 역할도 못한 채 죽는 일이 없도록 연구해 보자.
1도(정해)
먼저 흑1로 기는 것이 중요한 수순이다. 백도 공배메움이므로 흑3에 백4는 부득이하다. 거기서 흑은 11까지 자신을 안정시키고 귀의 백을 위협한다. 백A로 귀살이를 하면 흑B로 만족이다. 백은 귀를 버리는 편이 좋을런지도 모른다.
2도(함정)
당황해서 흑1, 3으로 젖혀잇는 것은 백4로 중요한 흑 두점이 죽고 만다. 백6, 8이 뛰어난 맥점이다.
3도(함정)
<2도>에서는 공배일 뿐만 아니라 흑5, 7이라면 백8이 역시 교묘한 맥점이어서 흑은 잡힌다.
4도(정석)
이것은 옛날부터 있던 <정석>이다. 흑에게 스물 몇집을 허용하지만 백의 외벽도 웅대한 것이어서 손색이 없다. 또 축이 불리할 경우는 백21로 23, 흑21, 백30으로 두기도 한다.
'정석공부 > 정석 전략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高川格이 시험한 변화 (0) | 2016.08.14 |
---|---|
붙임수를 유인하는 흑 한칸 (0) | 2016.08.01 |
걸쳐온 한점 (0) | 2016.07.16 |
정석이 싫으면 (0) | 2016.07.12 |
기타니류의 내려섬 (0) | 2016.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