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이는 맥11 문제도(흑선) 장면은 백이 소목에서 날일자 굳힘한 형태로부터 파생한 변화인데 뭔가 허술하다. 이런 형태는 '반드시' 수가 난다고 외워두면 좋다. 급소는? 1도(정해) 귀에서 많이 나타나는 형태다. 흑1의 붙임이 예리한 급소. 백2로 흑 한점을 잡으면 흑3으로 건너간다. 백집인 듯했던귀가 ..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09
잇는 법5 문제도(백선) 중국류의 포석에서 나타나는 모양이다. 백의 한칸 높은 걸침에 흑이 1, 3으로 붙여늘었다. 끊기는 점을 백은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 1도 흑의 세력이 강한 곳이므로 백1로 가볍게 보폭을 넓힌다. 흑2로 젖히면 백3으로 뻗어서 오히려 모양을 정비하는 의미가 다분히 있다. 2도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9
잇는 법4 문제도(흑선) 백1로 달리고 5의 모행마까지가 정석의 한 형이다. 흑4의 한칸 밑에 단점이 생겨서 이것을 보완해야 한다. 좀 더 활력이 있는 이음법을 구사하고 싶은 장면이다. 1도 흑1로 꽉 잇는 수다. 견실한 면에서는 탓할 수 없지만 두터움을 활용하는 면에서 볼 때는 이 수로는 다소 불..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9
다음 한수 27 문제도(흑선) 잡혀있는 흑▲ 한점을 활용하여 귀의 백집을 최소화하는 끝내기의 맥점은 어딜까? 1도(치중하는 맥) 흑1의 치중이 맥점이다. 백2로 차단한다면 흑3의 단수에 백의 응수가 없다. A, B가 맞보기다. 2도(실패) 흑1, 3으로 맞끊는 수가 성립할 것 같지만 백4, 6으로 응수하게 되면 더 ..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1.08
잇는 법3 문제도(백선) 백1, 3의 2단 젖힘은 대단히 기분좋은 수다. 단 흑4로 늘었을 때 백은 물러서야 한다. 어디를 어떻게 이을 것인가. 1도 백1로 꽉 이어주는 것이 정수다. 이것이면 상대의 꼬부림에 3, 5로 젖혀 뻗을 수가 있어서 한껏 확장할 수 있다. 2도 백1의 호구 이음은 흑2로 꼬부릴 때 A로 젖..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7
잇는 법2 문제도(흑선) 백1, 3으로 붙여당겼다. 다음에 2의 오른편으로 젖혀오면 흑은 완전히 근거를 잃게 된다. 한수로 안정할 수 있는 이음법을 연구해 보자. 1도 잇는 법에 따라 바로 안정에 이어지는 예로서 여기서는 흑1의 호구 이음이 최선이다. 다음에 백 A면 흑B로 찔러 붙이면 되고, 백B면 흑A..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7
잇는 법1 문제도(흑선) 흑의 화점에 백이 3.三 침입해서 생긴 모양이다. 백1, 3의 젖혀잇기에 대하여 흑은 손을 뺄 수는 없다.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 1도 이런 형에서는 누구나 흑1의 호구 이음을 선택할 것이다. 이렇게 호구 이음한 형은 빈틈이 없다. 2도 흑1로 일자 뛰는 것은 끊음을 방비하고 있으..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7
다음 한수 26 문제도(흑선) 흑▲ 한점을 발판으로 백을 공격하고 싶다. 어디서 어떻게 시작하나. 1도(치중하는 맥) 흑1의 치중이 맥점이다. 백2로 이으면 흑3, 5를 선수하는것이 요령. 흑7로 씌우면 괴롭다. 2도(실패) 흑1의 젖힘은 미흡하다. 그 다음 뚜렷한 공격 수단이 없다. 3도(백의 최선) 흑1 치중에 2..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5.01.07
붙이는 맥10 문제도(흑선) 흑 넉점이 귀에 갇혀 있지만 에워싼 백도 약점이 있다. 요석인 백△ 두점을 잡고 밖의 흑과 연결 된다면..... 1도(실패) 흑1로 바로 끊는 것은 5까지 한점을 잡을 순 있지만 백6으로 바깥쪽 흑이 다친다. 2도(정해) 흑1의 붙임이 급소. 백2로 건너면 흑3으로 끊어 백의 요석 두점을..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07
붙이는 맥9 문제도(흑선) 당장 흑A로 젖히면 사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흑의 희망은 뭔가 수를 내어 좀더 크게 살고 싶다는 것이다. 1도(실패) 실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지만 흑1은 무기력한 수다. 백2로 늘면 더 이상 별다른 수가 없다. A로 젖혀 사는 수밖에 없다면 실패다. 2도(정해) 흑1의 붙임이 .. 맥(手筋)공부/요脈조脈 201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