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문 문제도(흑선) 귀에서 수를 내는 문제. 흑 넉 점이 잡힌 것 같지만 숨이 붙어 있다. 1도(맥) 흑1로 비집고 백2 때 흑3, 5로 몰아치는 것이 맥. 2도(계속) 백이 6으로 따낼 수밖에 없을 때 흑7로 <패>가 된다. 물론 1수 늘어진 <패>다. 3도(변화) 흑1에 백2로 버티는 경우는 어떻게 될까? 흑3, .. 맥(手筋)공부/묘수와속수 2020.03.06
69문 문제도(흑선) 흑이 좌우로 갈리어 양곤마 양상. 차단하고 있는 백△ 두 점을 잡는 수가 없을까? 수읽기라기 보다는 감각의 문제이다. 1도(속수) 가령 흑1로 끊으면 어떻게 될까? 백2로 나올 것이다. 그 다음 흑의 후속 수단이 어렵다. 흑A면 백B, 흑C, 백D로 추궁당한다. 2도(불발) 흑1로 단수하.. 맥(手筋)공부/묘수와속수 2020.02.18
68문 문제도(흑선) 흑을 양단하고 있는 백 두 점이 눈엣가시다. 이를 잡는 수단은? 1도(맥 같지만 실패) 흑1로 장문을 씌우고 3, 5로 몰면 될 듯하지만 백6, 8에 실패다. 2도(맥, 정해) 흑1, 3, 5가 멋진 맥이다. 계속해서..... 3도(계속) 백1로 단수하면 흑2, 4로 <회돌이 축>이 된다. 그리고..... 4도(.. 맥(手筋)공부/묘수와속수 2020.02.10
67문 문제도(흑선) 지금 백△이 끊어온 장면. 한치도 물러설 수 없는 급박함. 대책이 없을까? 1도(최강) 흑1로 몰아 2를 유도한 다음 3의 단점을 잇는다. 백4뿐일 때 흑5가 최강수인데 문제는 흑의 후속수단이다. 2도(장문) <1도>에 이어 흑1로 장문을 씌운다. 백2, 흑3을 교환하고 백4로 단수해 .. 맥(手筋)공부/묘수와속수 2020.01.17
66문 문제도(백선) 단순히 흑 한 점을 잡는 것으로는 백이 살 수 없다. 1도(속수) 단순히 백1로 두는 것은 속수. 백3으로 붙여봐도 흑4로 그만이다. 단 흑도 흑4로 A에 받지 않도록 주의한다. 2도(맥점) 백1의 배붙임이 맥점. 흑2로 물러설 때 백3으로 건너간다. 다음 A, B가 맞보기. 3도(변화) 백1에 흑.. 맥(手筋)공부/묘수와속수 2019.12.12
65문 문제도(흑선) A, B가 서로 맞보기. 그러나 맥을 잘 짚으면 오히려 백 대마를 잡을 수 있다. 1도(실패) 흑1로 젖히는 것은 백2로 막혀 버린다. 다음 흑A면 백B, 흑B면 백A. 2도(맥점) 흑1에 붙이는 수가 숨어있는 맥점이다. 이 한 수로 흑은 전부 연결하면서 백 대마를 잡을 수 있다. 3도(수순) 흑1.. 맥(手筋)공부/묘수와속수 2019.12.03
64문 문제도(백선) 포위된 백 일단이 빈사상태. 사는 길이 없을 것 같지만, 궁하면 통한다고 하듯이 활로는 있게 마련이다. 그 절묘한 맥점을 찾아보자. 1도(맥 같지만) 백1로 끼워넣는 수가 그럴듯해 보이지만, 흑2, 4, 6으로 대응해 실패한다. 2도(맥) 백1이 절묘한 맥이다. 일종의 버림돌이다. 계.. 맥(手筋)공부/묘수와속수 2019.10.22
63문 문제도(백선) 잡힌 백△ 두 점은 쓸모가 없을 듯하지만, 수단의 여지가 숨어 있다. 1도(맥점) 백1의 젖힘이 터무니없는 수 같지만 수가 나는 맥점이다. 2도(패) 백1에 대해 흑2로 받으면 백3으로 호구쳐 <패>가 난다. 팻감이 충분한 국면이라면 물론 이것이 정해가 될 수도 있다. 3도(정해).. 맥(手筋)공부/묘수와속수 2019.10.04
62문 문제도(흑선) 흑백이 어지럽게 얽혀 있다. 언뜻 보아 흑이 어떻게 해 볼 수 없는 모양새다. 그러나 잘 생각하면 문제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다. 1도(정해) 흑1 다음 백2 때 흑3으로 찝는 수가 쉽게 떠오르지 않는 묘수. 다음에 백A면 흑B로 양단수. 2도(계속) 백은 4로 몰 수밖에 없는데 그때 가.. 맥(手筋)공부/묘수와속수 2019.08.21
61문 문제도(흑선) 백의 단점이 어렵지 않게 눈에 띈다. 그렇다고 서둘러서는 실패한다. 1도(실패1) 흑1, 백2를 교환하고 3으로 들여다보면 수가 날 듯하지만 백4로 잇고 보면 허사가 된다. 2도(실패2) 먼저 흑1로 들여다보는 수가 급소처럼 보이나 백2에 흑의 후속수단이 따르지 않는다. 흑1대신 A.. 맥(手筋)공부/묘수와속수 2019.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