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맥(手筋)공부/기본行馬

기본행마 36형

kimdong 2017. 12. 2. 21:51
728x90


제36형

  백1은 이른바 활용. 흑2의 이음은 지금 시점에서는 절대. 이 교환만으로 흑▲ 한점이 우형이 되는데, 또 한가지 백1의 꼬부림은 다음에 백A로 모자를 씌우는데 필요한 수순이다.






1도

  백3의 모자는 이 한수라고 할 호점. 흑4의 꼬부림에 백5로 젖히고 흑6의 붙임에 백7을 활용. 물론 백7은 제2의 모양의 급소자리. 백9로부터 11로 뛰어 매끄러운 돌의 흐름이다.



2도

  그렇다고 흑6으로 젖히면 백7로 끊겨 곤란하다. 이어서 흑8의 붙임이 나름의 급소이지만 백9로 젖혀나가면 흑 전체가 위험해진다.



3도

  <1도>의 백1, 흑2의 교환없이 바로 백1로 모자씌우는 것은 좋지 않다. 흑4의 젖힘에 백5로 끌 수밖에 없으며 흑6으로 모양을 갖춰 호형이 된다.



4도

  ▲으로(<3도>의 흑4) 젖혔을 때 백5로 바로 끊지 못하는 이유는 흑8까지 아래 백 두점이 잡히기 때문이다. <1도>의 활용은 이 수단에 대한 방비, 즉 흑에게 호형을 주지않기 위한 예비 공작인 것이다.


'맥(手筋)공부 > 기본行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행마 38형  (0) 2018.01.02
기본행마 37형  (0) 2017.12.16
기본행마35형  (0) 2017.11.03
기본행마34형  (0) 2017.10.27
기본행마33형  (0) 2017.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