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전술/제1형
꾐이나 속임에 넘어가지 않기 위해서, 또 그 술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먼저 알아두어야 할 것은 <정석>이다.
제1형
백1로 걸쳤을 때 흑2, 4로 두는 것은 유명한 <붙여뻗기 정석>이다.
여기에도 변화는 있으나 흑8까지의 응전으로 일단락이 된다.
그런데 언제나 이렇게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다.
제1도
백A로 벌리는 수를 생략하고 백1로 젖힌 다음 백3, 5로 나와서 끊는 수단이 있다.
물론 이것은 무리한 수단이기 때문에 백은 섯불리 손을 못대지만 흑이 정석에 어두우면 결행할지도 모른다. 말하자면 백1, 3, 5는 흑의 눈치를 살피면서 올가미를 씌우는 기만전법이다.
제2도
흑1로 끊는 단 한 수에 의해 문제는 깨끗히 해결된다.
이밖에도 여러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흑1 이상의 직효수단은 없다.
이 형에서는 흑1로 끊는 한 수뿐이다.
제3도
백2로 잇는 것은 하나의 저항 수단이지만 흑3이면 입장이 난처해진다.
제4도
백4로 단수하면 흑5로 빵때림을 당하기 때문이다. 백△이 죽으면 그곳을 절단한 의미가 상실되고 만다.
제5도
그렇다고 빵때림을 막기 위해 백4로 달아나면 흑5로 내려가기 때문에 오른쪽이 무너진다.
A의 단점이 있기는 해도 백은 함부로 손을 대지 못한다.
제6도
여기서 주의할 점 한 가지. 흑1, 백2의 교환 후 흑3으로 내려가는 것은 좋지 않다. 이것은 실패의 원인이 되는 惡手. 백4, 6으로 끊고 나가면 잡을 수가 없다.
제7도
이와 같이 흑1에 끊기면 백은 2, 4로 두지 않을 수 없다. 원래 제2선을 기는 것은 괴로운 일이다. 그 수를 강요하는 데서 흑의 능란한 솜씨를 엿볼 수 있다.
흑1로 끊는 수단까지는 필연적인 수순이지만 그 다음부터의 진행이 까다로와진다. 백은 흑5를 기다려 백6으로 잇는다. 귀를 굳히려면 흑은 어떻게 두어야 하는가. 여기서 실패하면 아무 것도 안된다.
제8도
<7도>의 백6에 대해서는 흑7로 단수하는 것이 온당하다. 백8 다음에는 흑9로 뛰는 맥을 알아야 한다.
백10에 흑11로 잇고 백12를 기다려 흑13으로 생명선을 확보한다.
여기서부터 접전이 벌어지는데 우변에 흑A, B, C등 영향력을 줄 만한 수단의 여지가 있어 중앙의 전투는 흑이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된다.
본 그림은 흑의 우세함을 확정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제9도
일반적으로 꾐에 빠지거나 속임에 넘어가는 것은 기력 차이에 두려움을 느끼는 상태에서 오는예가 많다.
흑1은 백의 꾐에 넘어간 수.
흑은 백이 A로 누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예상과는 달리 백2로 잇고 말았다. 백2는 급소의 맥이다.
이렇게 되면 백△이 활동을 개시하기 때문에(아직 숨이 붙어있다) 흑의 움직임은 여러모로 제약을 받는다. 이 어려움을 호전시키는 수단은 어떤 것이 있는가.
제10도
흑1쪽에서 단수하고 백2에 다시 3으로 막아 눌러도 제대로 되지 않는다. 백△이 활동을 개시했다는 것은 백4, 6에서 명백해진다. 백6으로 되단수하면.....
제11도
흑7로 잇지 않으면 안된다.
백8로 젖히고 10으로 이으면 A의 끊기는 단점과 B로 누르는 수단의 여지가 남는다. 그러므로 흑은 어느 한쪽을 단념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12도
흑1, 3으로 두면 무난하다.
그러나 무난하다고 해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백A의 수단은 여전히 엄중하다.
이것을 막기 위해 흑A로 두면 백은 중앙의 세력을 펼쳐난간다.
백의 응전태세에는 여유가 있는 반면 흑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13도
백1로 나와 3으로 끊는 수순의 성격은 이미 살펴본 바와 같다.
백이 A의 젖힘을 먼저 둔 다음에 나와서 끊는 것은 정형에서 벗어난 수법으로 하수의 판단력을 둔화시키는 교란작전이다.
따라서 이 술수는 무리한 수단이고 따라서 실패율도 높다고 볼 수 있다.
제14도
흑1로 단수하고 3으로 내려서는 것이 흑의 대응수단으로는 최선이다.
백은 4의 호구로 잇는 수밖에 없으며 흑5에 눌리면 백 두 점은 꼼짝 못한다.
제15도
흑3 때 백4로 반발하면 흑5로 끊어 백 석점을 잡는다. 이 석점을 빼앗기면 백은 더 이상 버티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