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의 기본은 기대기와 얽힘
돌을 공격하고 있으면 기분은 좋을지 모르나 잘 공격한다는 것은 어려운 것이다. 돌을 추격해서 결국 살게되면 집이 부족하다는 등의 경우를 대부분 경험한다. 그것은 대부분 추격하는 수가 집과는 관계가 없는 행마가 있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겠지만.....
따라서 <돌은 잡는 것이 아니고 공격의 이득을 노리는 것>이라는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 <얽힘과 기대기>를 잘 이용한다면 상당한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기본도(흑선)
하변 공방에 도전해 보자. 어떤 양상으로 공격하면 좋을 것인가?
1도
이런 배석의 경우는 흑1, 3에 우측 백을 공격하려는 태세롤 가져감이 유력하다. 지극히 보통의 수법이기 때문에 누구라도 둘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개중에는 하변 흑 한점이 걱정스러워서 둘 기회를 놓치는 사람도 있다.
백A의 모자 씌움은 흑B의 마늘모로 충분히 싸울 수 있다. 좌측 백도 엷기 때문에 좌우를 맞보기로 하면서 차분히 응접하면 된다.
2도
백4면 흑5, 7로 알기 쉽게 한칸 뒤면 좋다. 이렇게 좌우의 백을 얽으면서 공격한다면 손해볼 염려는 없을 것이다. 분명 공격의 득을 노릴 수 있는 태세이다.
3도
흑1의 한칸 뜀도 좋으나 다소 백에게 <눈>을 만들 여유가 있어 보인다. 백2를 두게 된다면 대개는 수습의 형태가 됨을 알 수 있다. <2도>의 마늘모 붙임과 같이 근거를 허용치 않고 공격하는 것이 상대에게 미치는 압력이 훨씬 클 것이다. <2도>의 흑쪽이 준엄하게 백을 얽히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4도
한칸 뛰더라도 흑1로 옆으로 뛰는 것은 안된다. 백2로 귀에서 변화를 구하게 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소위 말하는 <크게 공격하자>로 흑1로 작게 공격하면 백△이 가볍게 되어서 버리기 쉬워져 얽음의 형태로 가져갈 수가 없다.
<1도>의 흑1, 3이 백을 크게 공격하는 좋은 수이다. 이것이면 어느 쪽도 버릴 수가 없다.
5도
이런 싸움이 된다면 좌측의 백 넉점을 직접 노리지 말고 우측의 백 한 점에 흑1로 붙여서 동정을 살피는 것이 재미있다.
이것이 소위 기대기이며 백2면 흑3으로 득을 보겠다는 수가 숨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요령으로 공격하고 있으면 공격해서 손해가 될 염려는 없다. 이것이 잘 공격한다는 것이며 공격의 기본은 <얽힘과 기대기>의 "기대기"에 해당되는 것이다. 기대게 된 쪽은 <눈>이 없는 돌을 공격당하고 있기 때문에 정면으로 싸울 수 없다.
6도
백1, 3으로 버티는 것은 무리며 흑4까지 A와 B가 맞보기.
이처럼 기대게 된 돌을 움직여 나가게 되면 완전한 얽힘이 되어서 피해가 커지게 되기 때문에 <5도>의 갈림이 보편적이다.
7도
백1의 젖힘이 최강일지 모르나 좌측에 약한 돌을 안고 있는 경우에는 무리이고, 흑2, 4에 얽혀 들고 만다. 흑A의 봉쇄와 B의 따냄이 맞보기. 좌측의 약한 돌이 무거운 짐이 되고 있어, 어느 것이나 기대기 작전이 적절했음을 알 수 있다.
8도
흑1, 3과 같은 "찢어진 형태"를 상관하지 않는 직접적인 공격은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좌측 백이 머리를 내민 다음 흑A의 모자 정도로는 여간해서 백△의 움직임을 막을 수 없다. <5도>의 균형이 잡힌 갈림과의 차이가 공격방법의 잘잘못을 시사하고 있다.
유명한 기대기 작전을 소개하자면.....
접바둑에서 잘나타나는 형이다.
9도
흑1의 젖힘에 백2로 꼬부렸을 때 흑3의 붙임이 기대기 작전이며 백A면 흑B나 C라는 흑의 페이스의 싸움이 된다. B쪽이 준엄하나 C도 충분히 둘 수 있다.
10도
흑1도 나쁜 수는 아니지만 <9도>의 준엄함과 비교하면 돌의 능률에 느슨함이 있다. 백A의 붙임이 맛이 나쁘다.
이상, 얽힘과 기대기가 공격의 기본전법이 되고 있음을 알아 보았다.
여러가지 공격방법이 있으나 일단 공격의 태세로 돌입하면 얽힘과 기대기 전법을 이용하여 충분한 공격의 득을 노리도록 하자.
'기초공부 > 바둑격언·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가무가(有家無家)는 불상전 (0) | 2016.08.24 |
---|---|
하수의 양붙임 (0) | 2016.05.31 |
타개는 붙임에서 (0) | 2016.05.22 |
석점 중앙이 급소 (0) | 2016.05.11 |
날일자에 건너 붙임 (0) | 2016.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