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점 중앙이 급소
<두점머리는 부모에게도 맞지 말라>라고 하는 것과 같이 <두점머리>가 급소가 되는 것을 알고 있다. 급소를 젖히게 할 것인가는 돌의 <활력>에 큰 관계가 있다. 이와 같이 석점머리도 급소이나 <석점의 한 가운데>도 급소가 된다. 여기에 한방 먹으면 단번에 운신이 부자유스럽다. 특히 석점의 <공배>가 메워져 있는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기본도
귀의 백을 못살게 굴고 싶은데..... 그렇지 못하면 좌우의 흑이 삶을 꾀하지 않으면 안되고, 주도권을 백에게 빼앗길 염려가 있다.
1도
귀의 백을 어떻게 공격할 것인가인데 백의 심장부를 도리는 흑1의 맥점을 알고 있는지? 여기가 <공배>가 메워진 백△ 3점의 한 가운데 급소이다. 3점의 한 가운데인 백1로 한칸 뛴 맥에 해당한다.
<공배>가 메워져 있지 않으면 그처럼 준엄하지 않지만 이 경우는 <공배>가 메워진 약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한판의 승패와 관계될 정도로 강렬하다. 백A면 흑B.
2도
백2로 충분한 궁도를 확봐하려 해도 흑3이 선수가 되기 때문에 흑5로 명줄을 제압당하고 만다.
백4로 A에 두면 귀는 살 수 있으나 <요석>이 흑4로 잡히게 되어서는 곤란하다. 끊고 있는 백△ 두점이 의미가 없어진고 만다.
이것이 <석점의 중앙>의 위력이다.
3도
백1의 웅크림 대책이 문제가 되지만 흑2, 4에서 8로 끊는 수순을 기억해 두자.
4도
<기본도>에서 흑1의 젖힘은 백2로 살게 된다. 백2의 자리가 <공방의 급소>인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도
흑1, 3으로 공격해도 수가 되지 않는다. 흑5에는 백6이 맛이 좋은 수로서 무조건 삶. 백△ 두점의 <요석>이 생기를 갖게 된다.
5도
흑 차례. 백을 공격하려면 어디에 두는 것이 제일 효과적일까?
6도
백 석점의 한 가운데인 흑1로 두는 것이 공격의 급소. 이 한 수로 백은 시들고 만다. 백A의 호구이음에는 흑B.
7도
백A의 이음을 기대하고서 흑1로 공격하는 것은 독선적인 생각. 백 1점을 가볍게 보고 백2로 모양을 정리하고 만다.
8도
큰 눈사태 정석인데, 흑1에는 백2로 정리하는 것이 보통이다. 흑A는 백B.
실전에서 필히 써 먹어보자. 기대 이상의 효과를 발휘한다. 반대로 당하게 되면 부자연스럽고 답답함을 경험할 것이다.
'기초공부 > 바둑격언·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격의 기본은 기대기와 얽힘 (0) | 2016.05.25 |
---|---|
타개는 붙임에서 (0) | 2016.05.22 |
날일자에 건너 붙임 (0) | 2016.05.04 |
수레 밀어주기, 보리바둑의 본보기 (0) | 2016.02.21 |
맞끊으면 한쪽을 늘어라 (0) | 2016.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