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도(백선)
백1로 침투했을 때 백△처럼 변에 백돌이 대기하고 있는 경우라면 흑은 2로 막는 것이 유력한 선택 중 하나이다. 백3이라면 흑은 4로 뻗는 것이 준비된 수다. 이후 백은 어떤 방법으로 형태를 정비해야 할까?
1도(정답)
흑1로 뻗으면 백은 2로 움직이는 것이 좋다. 계속해서 흑은 3으로 젖혀 백의 응수를 묻는 것이 예정된 작전이다.
2도(백, 수습)
흑1로 젖히면 백은 2로 막은 후 4, 6으로 젖혀서 수습을 꾀해야 한다. 백△ 한점이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에는 지장없는 모습이다.
3도(사석작전)
<2도> 이후 흑은 1로 되젖혀서 사석작전을 펼치는 것이 좋다. 흑5까지 좌변에 벌려둔다. 흑은 한점 희생했지만 이후 기분 좋은 활용이 남아 있다.
4도(중앙을 중시)
<3도> 이후 흑이 중앙을 중시한다면 흑1로 단수치는 것이 좋다. 백이 2로 따낼 수 밖에 없으므로 흑은 선수로 중앙을 더욱 튼튼하게 만들 수 있다.
5도(실리를 중시)
귀의 실리를 중시한다면 흑1로 끊는 수가 성립한다. 백2로 따낼 때 흑3으로 끊는 것이 준비한 맥점이다. 백4로 단수치면 흑 한점이 잡히지만 흑은 귀의 특수성을 이용해서 끝내기하는 수를 준비하고 있다.
6도(패)
<5도> 이후의 진행이다. 이 형태는 <패>가 되는데 흑보다 백의 부담이 더 크다.
7도(흑의 전과)
<6도>의 형태는 흑이 팻감을 이용해서 흑1로 따낼 경우 백의 응수가 궁색해진다. 백은 <패>의 부담이 훨씬 크므로 2로 물러서는 정도인데 흑3, 백4까지 흑이 끝내기에서 상당한 전과를 거둔 모습이다.
8도(백의 욕심)
흑1에 백이 2로 뻗고 버티는 것은 무리한 욕심이다. 흑3으로 백 전체 <패>가 된다. 흑은 꽃놀이<패>의 형태라 백의 부담이 너무 크다.
9도(흑, 소극적)
백1로 젖혔을 때 평범하게 흑2로 잇고 두는 것은 좋지 않다. 백이 3으로 뻗고 나면 더 이상 활용수단이 없다는 것이 흑의 불만이다.
10도(흑, 미흡)
백1 때 흑2로 막고 두는 것은 이 경우 흑이 약간 당한다. 계속해서 백3, 5로 젖혀 잇고 흑4, 6까지 일단락인데, 흑의 강한 세력을 양쪽 변을 선점하고 있는 백돌들이 견제하고 있다.
'종합문제 > 철벽攻防'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칸 굳힘과 3.삼 침입 (0) | 2015.01.01 |
---|---|
날일자 굳힘과 3.삼 침입 (0) | 2014.12.31 |
벌림이 없는 눈목자 굳힘 (0) | 2014.12.30 |
실리를 중시한 젖힘 (0) | 2014.12.28 |
선수를 잡기 위한 노력 (0) | 2014.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