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종합문제/철벽攻防

실리를 중시한 젖힘

kimdong 2014. 12. 28. 20:09
728x90


문제도(백선)

  백1 때 흑은 실리를 중시해서 2로 젖히는 수도 가능하다. 이후 백은 어떤 방법으로 형태를 정비하는 것이 최선일까?












1도(정답)

  흑1로 젖히면 백2로 막는 것이 보통이다. 흑3으로 연결할 때 백4로 날일자하면 어렵지 않게 형태를 정비할 수 있다.




2도(백, 수습)

  백1로 날일자하면 흑은 2로 막는 것이 적절한 응수법이다. 계속해서 백3으로 기고 흑4로 뻗기까지 형태가 일단락된다. 백은 이 자체로 삶이 보장된 모습이다.




3도(흑, 무리)

  백1 때 흑2로 막고 버티는 것은 무리다. 백은 3은 선수한 후 5로 절단, 흑의 무리수를 응징한다.




4도(흑, 곤란)

  흑은 2의 단수 후 A, B 약점 때문에 응수가 없다.




5도(백, 만족)

  백1 때 흑2로 단수친다면 백3으로 뻗어 간단하다. 흑은 어쩔 수 없다. 4로 막아 사석작전을 펴야 하는데 백 5까지 흑▲ 한점이 백의 수중에 떨어져서 손해가 크다.




6도(흑, 곤란)

  백1 때 흑2로 버티는 수도 고려할 수 있지만 백이 3을 선수한 후 5로 씌우면 역시 흑이 곤란하다. 6으로 저항해도 백7까지 피해만 커질 뿐이다.




7도(백, 탈출)

  백1 때 흑2로 마는다면 백은 3으로 젖히는 수가 성립. 흑4 때 백5로 뻗으면 백은 중앙 진줄이 가능해진다.이 형태는 흑의 세력작전이 불가능한 모습이다.




8도(백의 변화)

  흑1 때 백은 2로 붙여서 두는 변화도 가능하다. 흑이 3으로 젖힌다면 백은 4로 끼워 흑 모양에 약점을 만드는 것이 좋은 수순이다.




9도(백, 수습)

  1. 2 교환 후 흑4의 보강 이음이 흑의 고충이다. 이하 9까지 백은 흑 모양에 약점을 남기며 수습해서 충분하다.




10도(흑의 변화)

  백1 때 흑2로 끼운다면 백은 3으로 단수친 후 5로 돌파하는 것이 좋은 수순이다. 이후 백은 백△ 두점을 희생하더라도 흑▲ 한점을 폐석으로 만들면 충분하다.


'종합문제 > 철벽攻防'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에 백돌이 있을 때 응수  (0) 2014.12.31
벌림이 없는 눈목자 굳힘  (0) 2014.12.30
선수를 잡기 위한 노력  (0) 2014.12.27
눈목자 굳힘과 전투  (0) 2014.12.26
공격의 가능성이 초점  (0) 2014.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