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도(백선)
흑▲처럼 양쪽변으로 벌림이 있는 경우 흑이 귀를 굳히고자 한다면 흑은 1로 한칸 뛰어서 두는 것이 좋다.
이후 백이 3.三에 침투한다면 어떤 변화가 이루어질까?
1도(3.삼 침입)
흑이 날일자 굳힘이라면 <패>가 되지만 지금처럼 한칸 굳힘에서는 그냥 살 수 있다. 백1에 흑2라면 백은 3의 마늘모로 응수하는게 좋다.
2도(삶의 수순)
백1에 흑2의 봉쇄 정도. 백은 3, 5로 젖혀 이어 수습. 귀는 아직 완벽하게 산 형태는 아니지만 흑의 약점 때문에 잡히지 않는다.
3도(최선의 수순)
백1로 이을 때 흑이 2로 약점을 보강하면 백은 2로 치받아 완벽한 삶의 모양이다. 이후 백은 A의 끼움이 노림이다.
4도(흑의 무리수)
만일 흑1. 3으로 공격하면 백은 자체로는 살 수 없는 모습이다. 그러나 흑5 이후 백은 허술한 흑의 포위망을 추궁해서 삶이 가능하다.
5도(백, 잡힘)
흑1 때 무심코 백2로 단수로 치는 것은 대악수다. 끊는 순간 백은 옥집이 되어 도리어 잡히고 만다.
6도(돌파)
흑1 때 백2로 한발 늦추어 받는 것이 좋은 수다. 다음 백4로 끼우는 수가 강력한 수며 백이 8로 뚫는 순간 흑은 A의 약점 때문에 응수가 곤란하다.
7도(흑의 변화)
처음으로 돌아가 백1 때 흑은 2, 4로 단수친 후 6으로 잇는 변화도 가능하다. 백은 7로 수습한다.
8도(백, 삶)
백1로 수습할 때 흑은 2로 막는 것이 좋다. 백은 3을 선수한 후 5로 내려서 삶에는 지장이 없다.
9도(백의 욕심)
흑1 때 백2로 젖히는 것은 흑3으로 끊겨 좋지 않다. 백이 좌우로 양분되어 나쁘다.
10도(백의 실수)
흑1 때 백이 입구자로 삶을 모색치 않고 백2로 두는 것은 <패>를 만들어 그만큼 백이 불리하다.
'종합문제 > 철벽攻防'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칸 굳힘과 3.삼 침입 (0) | 2015.01.03 |
---|---|
치받음에 대한 대응 (0) | 2015.01.02 |
날일자 굳힘과 3.삼 침입 (0) | 2014.12.31 |
변에 백돌이 있을 때 응수 (0) | 2014.12.31 |
벌림이 없는 눈목자 굳힘 (0) | 201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