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형
빗 모양을 하고 잇으며 6집이 되는데 이 모양은 삶이다.
기본형(백선)
백이 사는 길은 유일하게 <빗형>으로 만드는 것 뿐이다.
실전에서는 이 <빗형>과 유사한 형이 흔히 생긴다. 그러나 비슷하다는 것만으로는 결과가 달라지므로 유의해야 한다.
1도(정해)
백1, 3으로 젖혀 내려서는 것이 정해이다. 이것에 의해 이루어진 모양이 <빗형의 삶>이다.
2도(증명)
<삶>을 증명해 보자. 흑1이 급소이지만 백2, 4애서 좋다. 또 흑1로 2하면 백1이다.
유제1(흑선)
백의 궁도 속에 수가 나는지를 확인하라.
정해도
"<좌우동형>의 중앙에 수가 있다"는 격언대로 흑1로 한가운데에 치중하는 수가 있다.
백은 움직이지 못하고 죽는다.
실패도
속되게 흑1, 3하면 백2, 4 다음 흑의 응수가 없으므로 실패이다.
유제2(흑선)
흑이 먼저 두면 백은 어찌될까?
정해도
이와같은 모양에서는, 흑1 이하 5까지 석점으로 키우는 수를 생각하는 것이 상식적이다. 백6으로 7에 곳에 두면 흑6하여 아무래도 백은 <석집 치중수>로 죽는다.
실패도
흑1, 3으로 젖혀 잇는 것은 백4의 잇는 수를 허용해서 간단히 살려주므로 실패이다.
유제3(백선)
백이 반드시 잡히는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
정해도
백1이 급소. <유제2>와 똑같은 수법이다. 다만 이 형에서는 백에게 7의 수가 돌아가므로 <빅>이 된다.
실패도
백1로 <궁도>를 넓히려는 것은 불합격. 흑2로 젖히고 4로 치중하면 죽는다.
유제4(흑선)
백에게 <빗형의 삶>을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
정해도
흑1로 양붙임하고 이하 7까지 패가 된다. 단 흑1로 7의 곳부터 끊는 수도 있어 백4, 흑1에 백2라면 흑3이며 또 백A라면 흑2로 역시 패가 된다.
실패도
흑1로 젖히는 것은 백2로 <빗형의 삶>이 되므로 흑의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