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중(置中)수
<치중(置中)>은 급소에 놓는다는 뜻인데, <사활>에 관계하는 맥을 이루는 기초적인 테크닉이다. 요는 어디가 급소인가 하는 점일 것이다.
기본형(흑선)
흑은 어떻게하면 백을 잡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 그림은 기본형이므로 쉽게 <치중>할 곳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중에는 어려운 것도 있다.
1도
흑1의 치중이 급소이다. 백2로 잇게한 다음 3으로 막는다. 이하 흑5까지면 백은 살지 못한다. 이 다음 백A라면 흑B이다.
2도
자칫 잘못해서 흑1로 먼저 막으면, 백2, 4의 패로 저항하는 수가 있다.
유제1(흑선)
실전에서 흔히 생기는 형이다. 흑은 어떻게 둘 것인가?
정해도
흑1의 치중이 올바른 수순. 백2라면 흑3으로 무조건 죽는다. 백2로 3은 흑2로 단수가 된다는 점에 주의.
실패도
속되게 흑1로 꼬부리면 백2로 패가 된다.
유제2(흑선)
이것은 백을 <자충수>로 유도하는 문제이다.
정해도
흑1의 치중이 급소가 된다. 백2로 차단하면 흑3으로 끊는 수가 날카로와 백은 회복할 여지가 없다.
실패도
흑1로 젖히는 것은 흑3으로 끊었을 때 백4로 따내고 살아버린다. 흑A라면 백B, 흑B라면 백A이다.
유제3(흑선)
백의 모양이 갖춰지지 않은 점을 추궁해서 무조건 잡아 보자.
정해도
흑1의 치중이 올바르다. 백도 2로 차단하지 않으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흑3 이하 7까지 의 수순을 밟으면 백은 두 <눈>이 확보되지 않는다.
실패도
얼핏 보아 흑1의 껴붙임이 맥인 것 같지만 백2 이하 6까지 패가 된다.
유제4(흑선)
약간 까다로운 문제이다.
정해도
약간 어려울지 모르지만 흑1이 급소의 치중이다. 백2라면 이하 흑5까지 패가 된다. 수순 중 백2로 3에 내려서서 흑을 넘지 못하게 막으면 흑2를 당해 무조건 죽는다.
실패도
흑1을 급소로 착각하기 쉬운데, 백4까지 살게 된다.
'기초공부 > 死活첫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 (0) | 2015.08.16 |
---|---|
<요(凹)자> 움츠리는 수 (0) | 2015.08.10 |
마늘모 (0) | 2015.08.04 |
호구 이음 (0) | 2015.08.02 |
자충수(공배 메움) (0) | 2015.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