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아떨구기(2)
같은 <몰아떨구기>라도 이것은 패를 노리는 맥은 아니다. 오히려 여기서의 기법이 실전에서는 응용범위가 넓다.
기본형
현재 흑은 <눈>이 하나도 없다. 그런데 두 <눈>을 만들려는 것이므로, 어느 의미에서는 터무니없는 수작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을 가능하게하는 맥이 있다면 사정이 달라진다. 흑의 입장에서 그 방법과 수순을 생각해 보자.
1도
흑1로 먹여치는 것이 맥이다. 백2로 따내게 하고 흑3으로 되단수한다. 백은 동시에 두점이 잡혀서는 흑을 살려주게 되므로 백4로 잇는다. 계속해서.....
2도
흑5로 따내면 백A로 따내는 한수이다. 그러면 흑B로 산다.
유제1(흑선)
흑을 살리는 문제
정해도
먼저 흑1, 3으로 젖혀 호구 이음한다. 백4로 잇지 않을 수 없으므로 흑5, 7로 맥을 사용하여산다.
실패도
흑1부터 나가면 백2가 준엄하다. 4까지 수순착오로 실패.
유제2(백선)
귀가 아닌 변이지만 수법은 같다.
정해도
백1의 먹여치기를 직감적으로 알아낼 정도가 되어야 한다.
참고도
만일 흑▲처럼 주위의 공배가 메워져 있다면 흑2 다음 A에 단수하지 못하므로 백이 잡힌다.
유제3(흑선)
이 모양은 무조건으로는 살지 못한다.
정해도
흑1, 3은 똑같은 수법이다. 여기서 재차 흑5로 먹여치는 것이 좋은 수이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6으로 따내면 흑7로 패를 만든다. A라면 B로 패가 된다.
유제4(흑선)
사는 맥은 비교적 간단하다.
정해도
흑1의 먹여치기부터 3으로 내려서는 수까지 선수로 듣는다. 여기서 재차 흑5로 먹여치고 흑7의 <몰아떨구기>로 잡는다.
실패도
정해도의 흑3으로 내려서는 대신, 흑1로 들여다보는 것은 흑3으로 먹여쳐 패가 되지만 완전히 사는 것을 패로 만들어 실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