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凹)자> 움츠리는 수
<요(凹)자 움츠림>이란 요철(凹凸)의 요(凹)자 처럼 가운데를 오므리는 수를 말하는데, 이렇게 일단 굴복해서 사는 수가 적지 않다.
기본형(흑선)
이 형은 일종의 변형인데, 혹은 <요(凹)자>의 무기를 이용해서 살려는 것이다.
1도
흑1이 소위 <요자>의 맥이다. 이렇게 되면 다음은 설명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2도
그림처럼 흑1로 직선으로 이으면 흑은 제2선을 일곱번밖에 기지 않았으므로, 백은 선수로 2 이하 6까지 두어 흑이 죽는다.(육사팔생:6줄은 죽고 8줄은 산다// 일곱줄은 선,후수에 따라 생사가 갈린다)
유제1(흑선)
어딘가 엉성한 모양이지만 사는 수가 있다.
정해도
흑1의 요(凹)자로 움츠리는 것이 올바르며, 이것으로 살 수 있다. 백2에는 흑3이 중요하고 이하 5까지의 요령으로 두는 것이다.
실패도
흑1로 이으면 안된다. 백2에서 백8까지 흑이 잡힌다.
유제2(흑선)
백을 잡는 방법은?
정해도
흑1의 요(凹)자로 움츠리는 것이 교묘한 수이다. 백2로 두점을 따냈을 때 흑3으로 되따내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변화도
흑1 때 백2로 내려서도 흑3으로 바깥 공배를 메우면 역시 수가 나지 않는다.
유제3(백선)
흑1의 젖힘수에 대해서 백은 어떻게 응수할 것인가?
정해도
백1의 요(凹)자로 응수하는 것이 묘수이다. 흑2로 두점을 잡으려 오면 백3으로 응해서 두덤을 미끼로 던지고, 흑이 두점을 따내면 백은 한점을 되따낸다.
실패도
백1로 응수하는 것은 흑2의 단수가 있는데, 백이 A에 잇지 못한다.
유제4(백선)
기본형과 거의 비슷한 모양이다.
정해도
백1의 요(凹)자로 움츠리는 것이 절묘한 수이다. 그 이치는 기본형과 같지만 두점이 단수된 상태라 이 수를 찾기가 힘들다.
실패도
백1로 잇는 수는 너무 책략이 없는 수. 흑2 이하 6까지 당해 전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