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도(백선)
흑▲로 벌린 형태에서 흑이 A나 B에 벌리지 않고 1로 귀를 굳힌 장면이다. 흑1은 우하귀 방면에 백의 강한 세력이 있을 때 자주 두어진다. 흑1에 대해 귀에는 어떤 침투 수단이 있을까?
1도(침투의 급소)
백1로 침투하면 흑은 A, B 중 어느 쪽으로 막을지 선택해야 한다.
2도(세력작전)
흑2로 막는 것은 흑▲의 벌림을 활용해서 세력작전을 펼친다는 뜻이다. 계속해서 백은 3, 5로 안정을 취한다.
3도(정석)
일련의 진행으로 정석이 끝나면 백은 선수를 취하지만 흑 세력이 너무 막강하다.
4도(무리한 욕심)
백1로 이었을 때 흑2로 한점 잡는 것은 무리수다. 백이 3으로 끊은 후 흑4 때 백5로 나가면 흑▲ 한점이 속절없이 잡히고 만다.
5도
백△으로 안정했을 때 흑이 보강을 게을리하면 백1로 움직이는 수가 성립한다. A의 급소 뿐 아니라 누가봐도 흑이 좋지 않다.
6도(백, 충분)
백1 때 흑2로 보강한다면 백3으로 한칸 뛰는 것이 좋은 수다. 흑▲ 넉점도 불안정한 형태라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7도(흑의 변화)
백1 때 흑2로 젖힌 수는 실리를 중시한 변화다. 그러나 백이 3, 5로 단수친 후 돌파하면 흑▲ 한점이 폐석이 되므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좋지 않다.
8도(백, 만족)
<7도> 이후 흑1로 끊으면 백은 2로 잇는 것이 좋다. 계속해서 백3으로 잡는다면 백4로 한칸 뛰어 백이 유리한 결말이다. 흑▲ 한점이 폐석이 되었다는 것이 흑의 불만이다.
9도(흑, 간명)
백1 때 흑2는 복잡한 변화를 피해 간명하게 형태를 결정짓겠다는 뜻이다. 이 형태는 <3도>의 기본 정석과 거의 동일한 결과다.
10도(방향착오)
흑2 쪽으로 막는 것은 방향착오다. 흑10까지 진행되고 보니 흑▲ 한점의 위치가 이상하다.
'종합문제 > 철벽攻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리를 중시한 젖힘 (0) | 2014.12.28 |
---|---|
선수를 잡기 위한 노력 (0) | 2014.12.27 |
공격의 가능성이 초점 (0) | 2014.12.25 |
정석 이후 침투 (0) | 2014.12.24 |
흑의 사석작전 (0) | 2014.12.23 |